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상세 이미지
책 소개
교착어인 한국어와 고립어인 중국어는 완전히 다른 유형의 언어이므로 이 두 언어에서의 사동사는 표현 방식에 있어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한r중 사동사의 비교와 대조를 통해 단일 언어 연구에서 보지 못했던 현상과 특성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연구는 한·중 언어의 모든 기술 연구와 역사 연구 및 언어유형론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고는 우선 한·중 사동사의 정의와 범위를 재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중 사동사의 결합가 유형을 고찰하고 이어서 한·중 사동사의 통사적 결합가, 의미적 결합가 및 화용적 결합가를 전면적으로 고찰하며 대조 분석을 진행한다. 이러한 시도는 문장 구조를 연구하는 통사론이나 문장의 의미 구성을 연구하는 통사
의미론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 결합가 이론은 문법교육 실천에서 그 실용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논리학, 의미론, 인지심리학, 화용론, 언어대조 및 맨 머신 대화 등의 분야를 연구하는 학자들 중에서도 많은 이들이 이 이론에 흥미를 가지고 그들의 이론 체계에도 인용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결합가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한·중 사동사 대조 연구는 연구사적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국문 초록
제 1 장 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내용 및 연구대상
1.3 연구방법
1.4 선행 연구
1.4.1 한·중 동사 결합가에 관한 선행 연구
1.4.2 한·중 사동사에 관한 선행 연구
제 2 장 결합가 이론과 결합가의 층위
2.1 결합가 이론
2.1.1 결합가 이론 개관
2.1.2 결합가의 층위
2.1.2.1 통사적 결합가
2.1.2.2 논리·의미적 결합가
2.1.2.3 의사소통적·화용적 결합가
2.2 한·중 동사 결합가에 대한 연구방법
제 3 장 한·중 사동사의 정의와 범위
3.1 사동 개념과 사동사에 대한 정의
3.2 한국어의 사동사
3.2.1 파생사동사
3.2.2 합성 사동사
3.2.3 순수 사동사
3.2.4 어휘적 사동사에 대하여
3.3 중국어의 사동사
3.3.1 순수 사동사
3.3.2 검류 사동사
3.3.3 ‘다의 사동사’에 대해
3.4 소결론 ? 98
제 4 장 한·중 사동사의 결합가 유형
4.1 한국어의 2가 사동사
4.1.1 2가 파생 사동사
4.1.2 2가 합성 사동사
4.2 한국어 3가 사동사
4.2.1 3가 파생 사동사
4.2.2 3가 합성 사동사
4.2.3 3가 순수 사동사
4.3 중국어 2가 사동사
4.4 중국어 3가 사동사
4.5 소결론
제 5 장 한·중 사동사의 통사적 결합가
5.1 한·중 사동주의 통사론적 성격
5.1.1 한국어 사동주의 통사론적 성격
5.1.2 중국어 사동주의 통사론적 성격
5.2 한·중 피사동주의 통사론적 성격
5.2.1 한국어 피사동주의 통사론적 성격
5.2.2 중국어 피사동주의 통사론적 성격
5.3 한국어 사동사의 통사론적 기능
5.3.1 한국어 2가 사동사의 통사론적 기능
5.3.2 한국어 3가 사동사의 통사론적 기능
5.3.2.1 한국어 3가 파생/합성 사동사의 통사론적 기능
5.3.2.2 한국어 순수 사동사 결합가의 통사론적 기능
5.4 중국어 사동사의 통사론적 기능
5.4.1 중국어 2가 사동사의 통사론적 기능
5.4.2 중국어 3가 사동사 결합가의 통사론적 기능
5.5 소결론
제 6 장 한·중 사동사의 의미적 결합가
6.1 한·중 사동주와 피사동주의 의미특질
6.1.1 한국어 사동주와 피사동주의 의미특질
6.1.2 중국어 사동주와 피사동주의 의미특질
6.1.3 한·중 전형적인 사동주와 피사동주
6.1.3.1 전형적인 사동주와 비전형적인 사동주
6.1.3.2 전형적인 피사동주와 비전형적인 피사동주
6.2 한·중 사동사 결합가의 의미역할
6.2.1 한·중 사동구조의 의미역할 확정에 대하여
6.2.2 한국어 사동사의 의미역할
6.2.2.1 한국어 2가 사동사의 의미역할
6.2.2.2 한국어 3가 사동사의 의미역할
6.2.3 중국어 사동사의 의미역할
6.2.3.1 중국어 2가 사동사의 의미역할
6.2.3.2 중국어 3가 순수 사동사의 의미역할
6.3 한·중 3가 순수 사동사의 결과 의미성분에 대하여
6.4 한국어 3가 파생 사동사와 3가 합성 사동사의 세 번째 의미역할
6.5 소결론
제 7 장 한·중 사동사의 화용적 결합가
7.1 한국어 사동사의 화용적 결합가
7.1.1 한국어 2가 파생/합성 사동사의 화용적 결합가
7.1.2 한국어 3가 파생/합성 사동사의 화용적 결합가
7.1.3 한국어 3가 순수 사동사의 화용적 결합가
7.2 중국어 사동사의 화용적 결합가
7.2.1 중국어 2가 겸류 사동사의 화용적 결합가
7.2.2 중국어 3가 사동사의 화용적 결합가
7.3 소결론
제 8 장 결론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