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사)한국과수병해충예찰연구센터가 매년 2,000여 농가를 예찰할 때, 농민 분들께서 하시는 질문 중 가장 많은 것은 농약과 관련된 내용이었습니다.
이 책에는 농약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이 나옵니다. 그러나 그것보다 더 중요한 우선순위는 ‘농약을 어떻게 선택하느냐, 얼마나 더 효율적으로 잘 살포하느냐?’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지금 당장 어떤 농약이 특정한 병해충에 효과가 좋다고 말하는 것이 과연 농민에게 도움이 되겠느냐는 가장 단순한 물음에서부터 출발했습니다.
“탄저병에 어떤 농약이 제일 잘 듣느냐?”는 단도직입적인 질문부터 “왜 비싼 약을 사용했는데 응애가 죽지 않느냐?”면서 자조 섞인 푸념을 해 올 때 그분들께 도움을 드릴 수 있는 방법을 고민했습니다. 2006년 겨울, 가장 많이 궁금해 하는 농약에 대해서 궁금점을 속 시원하게 해소해 드리고자 하는 마음으로 이 책을 기획했습니다.
목차
Ⅰ 농약의 이해
1. 가장 효율성이 높은 농약의 혼용순서는?
2. 성분이 같은데 수화제, 액제, 유제로 다양하게 만드는 이유는?
3. 가장 기본적인 농약사용안내책자는?
4. 딸기와 사과의 농약안전사용기준은 왜 다른가?
5. 내성이 생겨 더 이상 듣지 않는 약은 영영 못 쓰나?
6. 다작용점 약은 (예: 만코지, 캡탄 등) 왜 내성이 생기지 않을까?
7. 고온에 살포해야 좋은 약이 있나?
8. 고독성 농약(DDVP, 수프라사이드)은 이제 생산 중지되나?
Ⅱ 농약 사용방법
9. 작물에 이슬이 많은데 약을 살포해도 괜찮을까?
10. 약을 치는 중에 소나기가 오면 다시 약을 쳐야 하나?
11. 약을 물에 희석한 후 며칠 있다 살포해도 될까?
12. 안전사용기준일에 맞추어 약을 살포했다고 안심할 수 있나?
13. 비싼 약을 15일 간격으로, 싼 약을 10일 간격으로 살포, 어느 것이 좋을까?
14. 수출사과에 잔류농약. 해결방법은?
Ⅲ 효과적인 농약 사용방법
15. 농약 희석하는데 왜 식초(목초액, 빙초산)를 넣을까?
16. 전착제. 여러 가지 있던데 꼭 필요한가?
17. 전착제 넣으면 오히려 효과가 떨어질 수도 있을까?
18. 작은 물방울을 만드는 노즐이 최선일까?
19. 농약 칠 때 칼슘 넣어서 치면 효과가 어떨까?
Ⅳ 살충제 이야기
20. 뭔 농약의 계통이 이리 많아? 이걸 어떻게 선택하나?
21. 비싼 살충제를 살포했는데 노린재가 한 마리도 안 죽는 이유는?
22. 나무좀의 효과적인 방제시기는?
23. 심식나방류. 한 번 잡아 보려 하는데, 좋은 농약은?
24. 풀 베다 보니 나방이 보이는데 약 쳐야 되는 거 아닐까?
25. 진딧물이 많은데 약은 좀 더 있다가 치라고 하는 이유는?
26. 살충제 쳤는데 잘 안 죽는다. 약이 물인가?
Ⅴ 살균제 이야기
27. 해비치, 프린트, 카브리오 순서로 약을 살포하면 문제가 생기나?
28. 물보다 못한 살균제가 있다던데?
29. 탄저병. 해결책은 무엇인가?
30. 비싸고, 침투성인 살균제에도 단점이 있을까?
31. M.9 후지에 갈색무늬병(갈반)이 5월 하순에 발생할 수 있나? 약을 쳐야 하나?
32. 로브랄, 델란 등의 살균제는 병 발생 후에는 효과가 없는가?
33. 미량요소 결핍증상에 만코제브가 효과적인가?
Ⅵ 살비제 이야기
34. 비싸고 좋은 응애약을 살포해도 피해를 보는 이유는?
35. 월동 사과응애알에 퐁퐁 치면 효과 있나?
36. 약 치고 일주일 후 예찰요원이 응애가 살았다고 한다. 다시 쳐야 하나?
37. 응애 잘 죽이는 약을 선택하는 방법은?
38. 기계유유제는 언제 치고 어느 정도 넣어야 하나?
Ⅶ 제초제 이야기
39. 제초제 조금 넣어도 이것만 넣으면 효과가 좋다는데 정말?
40. 효과 좋은 제초제를 왜 없애려고 하나?
41. GAP인증과원인데 수관하부에 제초제를 사용해도 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