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시설물(施設物)이란 건설공사를 통하여 만들어진 구조물(構造物) 및 그 부대시설(附帶施設)로서 도로, 교량, 터널, 댐, 수리시설 및 건축물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공히 철재(鐵材) 또는 굳은 콘크리트의 동일성질(同一性質)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시설물유지관리(施設物維持管理)는 현행법상으로도 토목 과 건축 구조물을 함께 다루도록 규정되어 있으므로 본 도서가 대학교 교재뿐만 아니라 토목, 건축 산업현장에서 종사하는 실무자(實務者)들의 참고도서(參考圖書)로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편간(編刊)하여 토목, 건축 시설물(施設物)의 유지관리과정(維持管理科程)에 조금이라도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이나 저자의 능력(能力)과 시간부족으로 만족할만한 것으로 만들지 못한 아쉬움은 앞으로 계속적인 보충(補充) 및 보완(補完)으로 완성코자 하오니 널리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
목차
제1장 총론 및 개요
1.1 건설의 역사와 발전과정 ------------------------------------- 3
1.1.1 고대의 건축 -------------------------------------------------- 3
1.1.2 근대의 건축 -------------------------------------------------- 3
1.1.3 현대의 건축 -------------------------------------------------- 3
1.1.4 우리나라 건설역사와 발전과정 --------------------------------- 4
1.2 건설사고의 사례 -------------------------------------------- 6
1.2.1 인위재해와 자연재해 ------------------------------------------ 6
1.2.2 건설사고 사례 정보의 의의 ------------------------------------ 6
1.2.3 건설사고의 사례 ---------------------------------------------- 7
1.2.4 건설사고의 주요 원인 ----------------------------------------- 9
1.2.5 삼풍백화점 및 성수대교 붕괴사고사례 -------------------------- 10
1.3 유지관리산업의 도입 배경 ----------------------------------- 13
1.3.1 시설물의 정의 ------------------------------------------------ 13
1.3.2 안전관리 체계의 필요성에 의한 배경 --------------------------- 14
1.3.3 시설물의 제고확대에 따른 배경 -------------------------------- 15
1.3.4 유지관리의 적용 ---------------------------------------------- 16
1.4 건축물의 생체적 이해도 ----------------------------------------- 17
1.4.1 건축물의 생체적 이해 ----------------------------------------- 17
1.4.2 건축물의 생체적 기능 ----------------------------------------- 17
1.4.3 콘크리트 구조물의 생체적 대비 -------------------------------- 18
1.5 시설물의 유지관리 개념 ------------------------------------- 19
1.5.1 유지관리 용어의 정의 ----------------------------------------- 19
1.5.2 예지보전 ----------------------------------------------------- 20
1.5.3 예방보전 ----------------------------------------------------- 20
1.5.4 시설물의 구분 ------------------------------------------------ 21
1.6 유지관리와 LCC(Life Cycle Cost) ---------------------------- 23
1.6.1 총 생애주기비용(LCC)의 개념 ---------------------------------- 23
1.6.2 유지관리에서의 최적 LCC -------------------------------------- 25
1.7 유지관리의 방법 및 절차 ------------------------------------ 26
1.7.1 취지 및 기본지침 --------------------------------------------- 26
1.7.2 유지관리의 절차 ---------------------------------------------- 27
1.8 건축물의 내구년한 _----------------------------------------- 28
1.8.1 물리적 내구년한 ---------------------------------------------- 28
1.8.2 기능적 내구년한 ---------------------------------------------- 29
1.8.3 사회적 내구년한 ---------------------------------------------- 30
1.8.4 법적 내구년한 ------------------------------------------------ 31
1.9 유지관리의 기록 및 시스템화 -------------------------------- 31
1.9.1 유지관리 계획 수립 ------------------------------------------- 31
1.9.2 시설물의 점검 및 유지보수 ------------------------------------ 33
1.9.3 점검기록 및 관계도서의 보관 ---------------------------------- 34
1.9.4 유지관리의 시스템화 ------------------------------------------ 35
제2장 성능저하 원인 및 대책
2.1 굳은 콘크리트의 특성 --------------------------------------- 39
2.1.1 콘크리트의 일반 ----------------------------------------------- 39
2.1.1.1 콘크리트의 조성 ------------------------------------------ 41
2.1.1.2 수화 반응 ------------------------------------------------ 41
2.1.1.3 응결과 경화 ---------------------------------------------- 43
2.1.2 굳은 콘크리트의 강도 ------------------------------------------ 44
2.1.2.1 콘크리트의 강도이론 -------------------------------------- 44
2.1.2.2 인장 콘크리트의 강도 ------------------------------------- 45
2.1.2.3 압축콘크리트의 균열 및 파괴 ------------------------------ 46
2.1.2.4 콘크리트의 피로강도 -------------------------------------- 48
2.1.2.5 콘크리트의 충격강도 -------------------------------------- 51
2.1.2.6 콘크리트의 미세균열 -------------------------------------- 52
2.1.3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인자 ------------------------------------ 53
2.1.3.1 구성재료의 영향 ------------------------------------------ 53
2.1.3.2 콘크리트 배합의 영향 ------------------------------------- 55
2.1.3.3 시공방법의 영향 ------------------------------------------ 56
2.1.3.4 콘크리트 재령의 영향 ------------------------------------- 57
2.1.3.5 양생의 영향 ---------------------------------------------- 57
2.1.4 굳은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 59
2.1.4.1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도 관계 ------------------------------ 59
2.1.4.2 탄성계수 ------------------------------------------------- 63
2.1.4.3 콘크리트의 크리프 ---------------------------------------- 64
2.1.4.4 콘크리트의 건조수축 -------------------------------------- 66
2.2 시설물의 노후화 -------------------------------------------- 69
2.2.1 노후도 평가 항목 및 기준 -------------------------------------- 71
2.2.2 퍼지이론에 의한 노후도 평가 ---------------------------------- 73
2.2.2.1 가능성 이론 ---------------------------------------------- 73
2.2.2.2 퍼지이론의 개념 ------------------------------------------ 76
2.2.2.3 퍼지집합의 개념 ------------------------------------------ 76
2.2.2.4 관계의 특성 및 함수 -------------------------------------- 78
2.2.2.5 퍼지집합의 예 -------------------------------------------- 79
2.2.3 퍼지이론에 의한 노후도 평가 등급 ----------------------------- 80
2.3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 82
2.3.1 내구성 관련용어 ---------------------------------------------- 82
2.3.2 내구 설계 ---------------------------------------------------- 85
2.3.3 내구성 저하 원인 --------------------------------------------- 88
2.4 성능저하(열화)의 원인 및 대책 ------------------------------ 90
2.4.1 중 성 화 ----------------------------------------------------- 91
2.4.2 알칼리 골재반응 ---------------------------------------------- 99
2.4.3 염 해 ------------------------------------------------------- 108
2.4.4 철근부식 ----------------------------------------------------- 120
2.4.5 동 해 ------------------------------------------------------- 132
2.4.6 화학적 부식 -------------------------------------------------- 138
2.4.7 화 재 ------------------------------------------------------- 149
2.4.8 균 열 ------------------------------------------------------- 156
2.4.9 누수 및 백화 ------------------------------------------------- 157
2.4.10 콘크리트의 강도 열화 ----------------------------------------- 162
2.4.11 변형과 처짐 -------------------------------------------------- 166
2.4.12 표면 열화(풍화, 노화) ---------------------------------------- 170
제3장 비파괴검사 및 안전진단
3.1 개 요 ------------------------------------------------------ 177
3.1.1 안전관리 체계도 ---------------------------------------------- 178
3.1.2 점검 또는 진단의 실시자격 ------------------------------------ 179
3.1.3 안전관리에 필요한 자료 --------------------------------------- 180
3.2 안전진단의 종류 및 방법 ------------------------------------ 181
3.2.1 계획 수립 ---------------------------------------------------- 181
3.2.2 정기 점검 ---------------------------------------------------- 182
3.2.3 정밀 점검 ---------------------------------------------------- 184
3.2.4 정밀안전진단 ------------------------------------------------- 187
3.2.5 상태ㆍ안정성 및 종합평가 ------------------------------------- 191
3.3 비파괴검사 ------------------------------------------------- 200
3.3.1 개 요 -------------------------------------------------------- 200
3.3.2 계측 및 오차 ------------------------------------------------- 204
3.3.3 육안 검사 ---------------------------------------------------- 210
3.3.4 콘크리트 강도추정 비파괴검사 --------------------------------- 223
3.3.4.1 개 요 --------------------------------------------------- 223
3.3.4.2 관입저항시험 --------------------------------------------- 223
3.3.4.3 핀인발시험 ----------------------------------------------- 225
3.3.4.4 내부확장 파괴시험 ---------------------------------------- 227
3.3.4.5 되돌이 파괴시험 ------------------------------------------ 228
3.3.4.6 인장파괴시험 --------------------------------------------- 229
3.3.4.7 구부림 강도시험 ------------------------------------------ 231
3.3.4.8 적산온도에 의한 강도시험 --------------------------------- 231
3.3.4.9 기타 비파괴 검사법 --------------------------------------- 232
3.3.5 반발경도 검사 ------------------------------------------------ 233
3.3.6 초음파 검사 -------------------------------------------------- 244
3.3.7 복합비파괴검사(조합법) --------------------------------------- 262
3.3.8 충격탄성파 검사 ---------------------------------------------- 263
3.3.9 철근 탐사 --------------------------------------------------- 270
3.3.10 전자파 레이더법 ---------------------------------------------- 294
3.3.11 열적외선 탐사법 ---------------------------------------------- 302
3.3.12 방사선 투과시험 ---------------------------------------------- 312
3.3.13 코어 강도시험 ------------------------------------------------ 323
3.4 화학반응 검사 ---------------------------------------------- 328
3.4.1 중성화 검사 -------------------------------------------------- 328
3.4.2 알칼리 골재반응 검사 ----------------------------------------- 337
3.4.3 강재 침투 탐상 검사 ------------------------------------------ 351
3.4.4 강재 자분 탐상 검사 ------------------------------------------ 359
제4장 균열의 종류 및 형상
4.1 개 요 ----------------------------------------------------- 373
4.1.1 균열 관리 ---------------------------------------------------- 373
4.2 균열의 메커니즘 -------------------------------------------- 378
4.2.1 콘크리트의 공극 ---------------------------------------------- 378
4.2.2 균열발생의 메커니즘 ------------------------------------------ 381
4.2.3 허용 균열폭 -------------------------------------------------- 487
4.3 균열발생의 원인 -------------------------------------------- 399
4.4 균열의 분류 및 종류 ---------------------------------------- 400
4.4.1 발생부위ㆍ형태에 의한 분류 ----------------------------------- 400
4.4.2 원인에 의한 분류 --------------------------------------------- 402
4.5 구조적 거동 ------------------------------------------------ 410
4.5.1 구조적 거동의 이해 ------------------------------------------- 410
4.5.2 전단파괴사례를 통한 거동의 이해 ------------------------------ 411
제5장 구조물의 보수, 보강
5.1 개 요 ----------------------------------------------------- 417
5.1.1 용어의 정의 -------------------------------------------------- 417
5.1.2 보수ㆍ보강의 의미 -------------------------------------------- 418
5.2 보수공사 --------------------------------------------------- 422
5.2.1 보수공사 진행절차 -------------------------------------------- 422
5.2.2 보수범위의 선정 ---------------------------------------------- 423
5.2.3 공법 선정 ---------------------------------------------------- 424
5.2.4 보수재료 선정 ------------------------------------------------ 426
5.2.5 보수재료의 분류 ---------------------------------------------- 428
5.3 균열 및 표면열화 보수공법 ---------------------------------- 436
5.3.1 균열 퍼티 보수공법 ------------------------------------------- 436
5.3.2 균열 충전 보수공법 ------------------------------------------- 439
5.3.3 컨트롤조인트 신설보수공법 ------------------------------------ 442
5.3.4 건식균열 주입 보수공법 --------------------------------------- 447
5.3.5 습식균열 주입 보수공법 --------------------------------------- 457
5.3.6 누수균열 보수공법 -------------------------------------------- 458
5.3.7 각종 균열에 대한 보수공법 적용 ------------------------------- 464
5.4 열화 및 열화방지 보수공법 ---------------------------------- 465
5.4.1 표면열화 보수공법 -------------------------------------------- 465
5.4.2 침투재 도포공법 ---------------------------------------------- 469
5.4.3 표면 피복공법 ------------------------------------------------ 472
5.4.4 전기화학적 보수공법 ------------------------------------------ 475
5.4.5 전기 방식공법 ------------------------------------------------ 481
5.5 단면 복구공법 ---------------------------------------------- 486
5.6 프리-팩(pre-packed) 공법 ----------------------------------- 496
5.7. 기타 공법 -------------------------------------------------- 500
5.7.1 화학적 부식콘크리트의 부식공법 ------------------------------- 500
5.7.2 외벽 마감재 박락 보수공법 ------------------------------------ 504
5.7.3 표면곰보 및 골재분리 보수공법 -------------------------------- 506
5.8 보강의 원리 및 기본적 해석 --------------------------------- 509
5.8.1 단면증가에 의한 해석 ----------------------------------------- 509
5.8.2 모멘트 다이어그램에 의한 해석 -------------------------------- 510
5.8.3 보강섬유의 설계자료 ------------------------------------------ 511
5.8.4 탄소섬유 보강설계 -------------------------------------------- 513
5.8.5 유리섬유 보강설계 -------------------------------------------- 516
5.8.6 강판의 보강설계 ---------------------------------------------- 524
5.9 보강 공법 -------------------------------------------------- 529
5.9.1 꺽쇠근 보강공법 ---------------------------------------------- 529
5.9.2 강봉 앵커링 보강공법 ----------------------------------------- 531
5.9.3 강판(철판) 보강공법 ------------------------------------------ 534
5.9.4 섬유 보강공법 ------------------------------------------------ 540
5.9.5 단면 증대공법 ------------------------------------------------ 548
5.9.6 포스트텐셔닝 보강공법 ---------------------------------------- 552
5.9.7 전단ㆍ인장 동시 텐셔닝 보강공법 ------------------------------ 560
5.9.8 강연선 매입 보강공법 ----------------------------------------- 566
5.9.9 치장 적벽돌 보강공법 ----------------------------------------- 571
5.9.10 메쉬 보강공법 ------------------------------------------------ 579
제6장 기초 및 연약지반 보강
6.1 지반의 구성 및 기초 ---------------------------------------- 585
6.1.1 지구 및 지층 생성 -------------------------------------------- 585
6.1.2 지반의 구성 요소 --------------------------------------------- 587
6.1.3 연약지반 및 불안정 기초지반 ---------------------------------- 597
6.2 얕은 기초 -------------------------------------------------- 598
6.2.1 기초의 개요 및 종류 ------------------------------------------ 598
6.2.2 얕은 기초의 개요 --------------------------------------------- 599
6.2.3 기초의 안정성 ------------------------------------------------ 604
6.2.4 기초의 지지력 ------------------------------------------------ 606
6.2.5 지반의 파괴형태 ---------------------------------------------- 612
6.3 기초 및 지반 침하 ------------------------------------------ 614
6.3.1 기초침하의 원인 및 종류 -------------------------------------- 614
6.3.2 기초의 압밀침하 ---------------------------------------------- 615
6.3.3 침하에 의한 영향 --------------------------------------------- 616
6.3.4 침하에 대한 대책 --------------------------------------------- 618
6.4 지하수의 처리 방법 ----------------------------------------- 619
6.4.1 지반내의 물 -------------------------------------------------- 619
6.4.2 지하수위 강하공법 -------------------------------------------- 622
6.4.3 그라우팅 차수공법 -------------------------------------------- 629
6.4.4 배면그라우팅 방수공법 ---------------------------------------- 635
6.5 연약지반 및 기초 보강공법 ---------------------------------- 640
6.5.1 개요 및 적용 ------------------------------------------------- 640
6.5.2 연약지반 개량공법의 분류와 특징 ------------------------------ 640
6.5.3 배수 공법 ---------------------------------------------------- 641
6.5.4 재하중 공법 -------------------------------------------------- 642
6.5.5 다짐 말뚝공법(다짐 모래말뚝공법) ----------------------------- 646
6.5.6 생석회 말뚝공법 ---------------------------------------------- 648
6.5.7 주입 공법 ---------------------------------------------------- 651
6.5.8 시멘트 밀크 그라우팅공법 ------------------------------------- 655
6.5.9 컴팩션 그라우팅공법 ------------------------------------------ 658
6.5.10 케미컬 그라우팅공법 ------------------------------------------ 661
6.5.11 언더피닝 공법 ------------------------------------------------ 664
제7장 지진 및 내진보강
7.1 개요 및 지진 ----------------------------------------------- 673
7.1.1 지구와 지진 발생 --------------------------------------------- 673
7.1.2 지진발생 원인의 이론 ----------------------------------------- 674
7.1.3 지진대 ------------------------------------------------------- 681
7.1.4 지진의 종류 -------------------------------------------------- 682
7.1.5 지진의 요소 -------------------------------------------------- 682
7.1.6 지진 현상 ---------------------------------------------------- 689
7.2 해외 및 국내의 지진 사례 ----------------------------------- 694
7.2.1 외국의 주요 지진 기록 ---------------------------------------- 694
7.2.2 우리나라의 지진 환경 ----------------------------------------- 697
7.3 지진 피해 -------------------------------------------------- 703
7.3.1 화 재 -------------------------------------------------------- 703
7.3.2 부동 침하 ---------------------------------------------------- 703
7.3.3 액상화 ------------------------------------------------------- 704
7.3.4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피해 ------------------------------------- 704
7.4 기존 구조물의 내진 보강 ------------------------------------ 708
7.4.1 개요 및 의미 ------------------------------------------------- 708
7.4.2 지진동의 예측 및 내진진단 ------------------------------------ 709
7.4.3 내진보강 방법 ------------------------------------------------ 715
7.4.4 내진 전단벽 공법 --------------------------------------------- 719
7.4.5 가새 설치공법 ------------------------------------------------ 721
7.4.6 기둥성질 개선공법 -------------------------------------------- 723
7.4.7 날개벽의 증설공법 -------------------------------------------- 724
7.4.8 면진 공법 ---------------------------------------------------- 725
7.4.9 제진 공법 ---------------------------------------------------- 738
7.4.10 지반, 기초의 내진 보강공법 ----------------------------------- 745
제8장 하자 및 관리대책
8.1 개요 및 하자 ----------------------------------------------- 749
8.1.1 하자의 개념 -------------------------------------------------- 749
8.1.2 하자 및 부실공사 발생원인 ------------------------------------ 751
8.1.3 하자의 범위 -------------------------------------------------- 753
8.1.4 하자보수 책임기간 -------------------------------------------- 755
8.2 하자처리 절차 ---------------------------------------------- 759
8.2.1 하자 조사 ---------------------------------------------------- 759
8.2.2 하자 판정 ---------------------------------------------------- 761
8.2.3 하자 처리 ---------------------------------------------------- 762
8.2.4 하자보수 보증금 ---------------------------------------------- 765
8.2.5 하자보수관리 및 종료 ----------------------------------------- 768
8.3 주요 하자 사례 --------------------------------------------- 771
8.3.1 주요 하자발생 사례 ------------------------------------------- 771
8.3.2 결로의 원인 및 방지대책 -------------------------------------- 772
8.3.3 벽지의 하자발생 ---------------------------------------------- 776
8.3.4 층간 소음 ---------------------------------------------------- 781
8.3.5 방수층의 하자 ------------------------------------------------ 781
제9장 시설물의 리모델링
9.1 개요 및 리모델링 ------------------------------------------- 785
9.1.1 건설의 흐름 및 방향 ------------------------------------------ 785
9.1.2 리모델링의 개념 ---------------------------------------------- 786
9.1.2.1 리모델링의 배경 ------------------------------------------ 786
9.1.2.2 리모델링의 의미 ------------------------------------------ 788
9.1.2.3 리모델링 의미의 용어 ------------------------------------- 788
9.1.2.4 리모델링의 3대 요구조건 ---------------------------------- 789
9.1.2.5 리모델링의 수요요인 -------------------------------------- 790
9.1.3 리모델링의 분류 ---------------------------------------------- 797
9.1.3.1 노후화 대책의 리모델링 ----------------------------------- 797
9.1.3.2 부대설비 기능 향상의 리모델링 ---------------------------- 797
9.1.3.3 인텔리전트화 리모델링 ------------------------------------ 798
9.1.3.4 문화, 역사적 건축물의 리모델링 --------------------------- 799
9.1.3.5 이파트의 리모델링 ---------------------------------------- 800
9.2 리모델링의 절차 -------------------------------------------- 801
9.2.1 개요 및 절차 흐름도 ------------------------------------------ 801
9.2.2 리모델링의 절차 ---------------------------------------------- 802
9.2.2.1 리모델링의 동기 및 적합성 검토 --------------------------- 802
9.2.2.2 현상 파악 ------------------------------------------------ 802
9.2.2.3 조사, 진단 ----------------------------------------------- 803
9.2.2.4 기획 및 제안 --------------------------------------------- 803
9.2.2.5 시행 ----------------------------------------------------- 804
9.2.2.6 효과 확인 ------------------------------------------------ 804
9.3 리모델링 사례 ---------------------------------------------- 805
9.3.1 공동주택의 리모델링 ------------------------------------------ 805
9.3.1.1 수평통합 증축형 ------------------------------------------ 805
9.3.1.2 수직통합 증축형 ------------------------------------------ 805
9.3.1.3 발코니 확장형 -------------------------------------------- 806
9.3.1.4 복도 확장형 ---------------------------------------------- 806
9.3.2 일반건축물의 지하 증설형 ------------------------------------- 807
9.3.2.1 개요 및 일반 --------------------------------------------- 807
9.3.2.2 가설받침대의 종류 ---------------------------------------- 807
9.3.3 리모델링의 사례 ---------------------------------------------- 808
9.3.3.1 명동 00빌딩 구조개선 및 리모델링 공사 -------------------- 808
9.3.3.2 방배동 00 아파트 리모델링 공사 --------------------------- 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