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역사적으로 보아서 비참하지 않은 전쟁이 어디 있겠냐마는 아마도 임진왜란의 참화는 결코 다른 전란과 비교해서 절대 뒤지지 않았을 것이다. 이러한 난리의 참화 중에서 사고무친 홀로 남은 괴당선조께서는 불굴의 의지와 신념으로 오직 가문의 중흥을 이루어 내신 것은 후손된 자 모두 익히 아는 사실일 것이다.
선조께서는 지천명의 연치에 이르러 자손에게 경계의 귀감을 삼고자 손수 유서를 작성하시고 자손만대 당부하는 글을 격정으로 써서 남기시었다. 그 내용을 보면 옷깃을 여미고 눈물 없이는 차마 볼 수 없는 사실들이 담겨져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유서는 이미 간행된 집안의 파보에 실려 있어 누구나 그 존재를 알고 있다.
그러나 아쉽게도 족보에는 원문이 그대로 실려 있고 한글로 번역되지 않아 다만 후손들이 관심이 있어도 그것을 보지 못하고 또한 알고 싶어도 단지 전하는 말에만 의지할 뿐이어서 답답하기가 그지없었을 것이다.
선조께서는 유서 전반에 걸쳐 후손된 자가 가질 덕목과 지켜야 할 도리를 많이 언급하고 있으며, 또한 당신의 바람이라고 간곡히 이르심은 물론 후손으로 하여금 바탕으로 삼을 것을 당부하고 계신다. 그러나 그러한 당부를 한 이후 근 400년이 흐른 지금 실로 시대가 많이 바뀌어 유서를 불편 없이 보고 감흥을 가질 후손이 얼마나 되겠는가? 아마도 한학을 공부하여 글의 의미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자손을 대상으로 쓴 것은 분명 아니리라. 지나간 세월은 공의 후손이 1,000명을 넘길 만큼 무성해진 지금 이와 같은 현실이 감히 이 유서를 해의 하는 목적이고 기능의 전부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글이라는 것은 본시 쓴 사람의 마음을 담는 것이다. 후손된 자로서 한 많은 선조의 마음이 담긴 글을 해의 하는 것은 몹시 두렵고 떨리는 일이 분명하다. 하물며 한문학을 전공한 것도 아니어서 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오직 열정과 성의만을 가지고 괴당선조의 마음을 그 후손에게 전하여 알리고자 하였다.
오류도 있을 수 있고 또한 견강부회의 억지도 있을 것이므로 진실로 가감 없는 지적과 꾸지람도 마다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한 용기와 겸허함은 곧 훈민정음에서 찾고자 한다. 인류가 가진 최고의 문자로 평가받는 우리 한글이 창제당시에는 지금 모습과는 사뭇 달라 어떻게 보면 조잡해 보이기까지 할 것이다. 후세에서 다듬고 계승하여 오늘에 이르러 완벽한 문자로 탄생한 것이다.
목차
서 문 … 9
제1장 : 유서작성 취지와 제목 … 16
ːː崇禎 十三年이라는 年號 사용에 관한 이해 … 17
제2장 : 부모를 일찍이 여읜 안타까운 심정 … 22
ː선비와 현비(顯?)의 구분과 8母에 대한 이해 …23
ː부유칠거(婦有七去)와 삼불거(三不去) … 25
ː槐堂公 父親 栢巖公(백암공) 旨(지) … 27
제3장 : 성장과정에 관한 설명 … 29
제4장 : 증조부와 종조부에 관한 설명 … 33
ː逝의 의미와 죽음에 대한 각각의 용어 이해 … 36
제5장 : 조부와 부친 형제에 관한 설명 … 40
ː한문 문장에서 我와 吾 그리고 余의 구분사용에 관한 이해 … 41
제6장 : 대종(大宗)의 이음과 백중부에 대한 반부(班?) 계획 … 46
ː槐堂公의 백부(伯父) 송암(松巖)公 魯(노) … 48
제7장 : 가문의 쇠락에 대한 안타까움 표현 … 53
ː공(公)의 의미와 사용법에 관한 이해 … 55
제8장 : 아들 셋을 가진 다행스러움과 막내를 잃은 아쉬움 … 57
ː죽음과 주검에 관한 이해 … 63
제9장 : 재산분배 계획과 문권이 없는 사정 … 65
ː문장(文章)의 품사(品詞)와 성분(成分)에 관한 약술(略述) … 67
제10장 백부의 문권(文券)이 발급받게 된 경위 … 71
ː의병장 곽재우[郭再祐, 1552~1617] 소고(小考) … 73
제11장 : 증조모의 문권발급과 보존 경위 … 77
제12장 : 조부의 문권이 없는 아쉬움과 남은 문권 3장(丈)의 사소함 … 81
ː槐堂公의 조부 引儀公(인의공) … 82
제13장 : 가문의 맥을 다시 이어 중흥한 다행스러운 마음 … 85
제14장 : 가문중흥의 당부와 제위답 결정 … 91
제15장 : 중부(仲父)에 대한 제위 당부 … 95
ː槐堂公의 仲父 축암공(畜巖公) 보(普) … 96
제16장 : 외손과 생질에 대한 재산 배분 … 101
ː字에 관한 理解 … 102
제17장 : 잔여 재산의 균등 분배 등 … 107
ː조선시대 첩(妾)제도에 관한 理解 … 108
제18장 : 노비로 돌리지 못하도록 당부 … 113
ː시기별(時期別)로 살펴본 조선시대 법전(法典) … 116
제19장 : 문기가 없는 등 이유로 환천(還賤) 금지 … 124
ː조선시대의 속량(贖良)제도 … 127
제20장 : 전답을 주지 못하는 안타까움 표현 … 130
ː祭祀의 종류와 由來 등 … 133
제21장 : 제사에 있어서 딸자식에 대한 당부 … 137
ː祭需에 관한 이해 … 140
제22장 : 유가(儒家)의 반부에 관한 예와 별도 법규 설립 … 144
ː槐堂公의 두 아드님 … 145
ː한문 문장의 종결사(終結詞)에 대한 이해 … 152
제23장 : 백부 송암공(松巖公)에 관한 설명과 후사 없음의 아쉬움 … 155
ː불특문장(不特文章)과 부정문을 만드는 부사(副詞) … 156
ː조선시대 과거제도(科擧制度)에 관한 小考 … 160
제24장 : 송암공의 사성강목 수찬(修撰)에 관한 고마움 표시 … 169
ː송암공 저서 사성강목(四姓綱目)에 관하여 … 170
ː족보란 무엇을 말함인가? … 186
제25장 : 정부자(程夫子)에 비길만 한 송암공의 공(功) … 195
ː시호(諡號)와 호(號)에 관한 理解 … 197
제26장 : 송암공에 대한 반부(班?)의 당위성 설명과 당부 … 204
제27장 : 축암공에 대한 추억과 요절의 안타까움 표현 … 208
ː달과 날 관한 여러 별칭(別稱) … 212
제28장 : 송암공?축암공에 대한 반부(班?) 당부 … 221
ː한주팔현(寒洲八賢)과 자동公에 관한 기억 … 223
제29장 : 부친에 대한 안타까움과 아쉬운 마음 적시(摘示) … 230
제30장 : 축암공과 부친의 원고가 전하지 않는 한스러운 마음 … 236
제31장 : 혈혈단신 혼자인 자신에 대한 자책 … 240
제32장 : 두 아들과 그 자손들에 대한 당부 말씀 … 243
ː제2인칭대명사에 대한 주의 … 246
제33장 : 막내아들을 잃은 격정(激情)을 토로 … 255
제34장 : 막내아들의 제위를 위한 계획과 추가 재산 배분 … 261
제35장 : 막내아들의 대(代)를 잇기를 당부하는 말 … 265
제36장 : 봉사(奉祀)의 중요성을 강조 … 269
ː사람의 나이를 별칭(別稱) 하는 여러 가지 용어 … 270
제37장 : 맺는 말 … 279
槐堂公行狀 … 281
槐堂公遺書(原文) … 285
한글해의 … 2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