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머리말Ⅰ. 에너지안보의 중요성 … 151. 에너지안보의 등장과 발전 ? 17(1) 1, 2차 세계 대전(2) 1, 2차 석유파동(3) 탈(脫) 냉전기 석유전쟁 <1> 중동 석유전쟁 <2> 우크라이나 사태 <3> 저유가와 에너지 패권 경쟁2. 에너지안보의 다층위적 확장 ? 24(1) 국가 차원의 에너지안보(2) 지역 차원의 에너지안보 <1> 에너지의 통제와 배분 <2> 에너지 국경통과운송(3) 전 지구 차원의 에너지안보 <1> 에너지안보협력 <2> 에너지 국제기구3. 비전통 안보 이슈로서의 에너지안보 ? 36(1) 전통 안보와 에너지안보(2) 비전통 안보와 에너지안보4. 에너지안보와 국제정치이론 ? 41(1) 현실주의와 에너지안보딜레마(2) 신자유제도주의와 에너지안보협력(3) 구성주의와 에너지안보협력체Ⅱ. 동북아의 에너지안보딜레마 … 471. 에너지안보딜레마와 각자도생(各自圖生) ? 49(1) 에너지 소비 대국들과 안보딜레마(2) 각자도생(各自圖生)2. 에너지안보딜레마의 원인 ? 56(1) 역사적, 인식론적 갈등 구조(2) 대립적 동맹 구조?(3) 영토 분쟁(4) 러시아 편향적 양자 협력 구조(5) 미국의 존재3. 갈등과 경쟁의 동북아 에너지안보 ? 64(1) 중·일 에너지 갈등 <1> 쐐기 박기: 동시베리아 석유 파이프라인 <2> 약속 위반: 춘샤오(春?) 가스전 <3> 자원을 통한 위협: 희토류 분쟁 (2) 러·중·일 레버리지 게임 <1> 코빅타 프로젝트 <2> 사할린 프로젝트Ⅲ. 중국의 에너지안보 … 791. 중국의 에너지안보딜레마 ? 80(1) 심각한 대외의존 <1> 석유 <2> 천연가스 <3> 석탄(2) 말라카 딜레마2. 에너지안보딜레마의 타개 ? 90(1) 해외 개척과 수입선 다변화(2) 말라카 딜레마의 타개 <1> 해상 수송로 <2> 육상 수송로(3) 전략석유비축(4) 친환경·저탄소 에너지정책3. 중국 에너지 위협론 ? 106(1) 중국 에너지 위협론의 연혁(2) 중국의 반박4. 중국의 다자주의 에너지안보정책 ? 114(1) 1단계(1978~1992년): ‘引進?(외국 유인)’(2) 2단계(1993~2005년): ‘走出去(해외 개척)’ <1> ‘走出去’의 배경 <2> ‘走出去’의 발전 <3> ‘走出去’와 정상외교 <4> ‘走出去’의 두 첨병 <5> ‘走出去’의 부작용(3) 3단계(2006년~): ‘新能源安全觀(신에너지안보관)’과 ‘互利共?(호혜공영)’ <1> ‘新能源安全觀’의 등장 <2> ‘互利共?’의 개방전략?Ⅳ. 일본의 에너지안보 … 1411. 경제 대국이자 에너지 빈국 ? 142(1) 석유(2) 천연가스(3) 원자력2. 원전 재개와 에너지 믹스 재편 ? 150(1) ‘원전 제로’ 폐기(2) 2030 에너지 믹스3. 신재생에너지의 강자 ? 153(1) 태양광발전(2) 풍력발전(3) 지열발전(4) 바이오매스Ⅴ. 한국의 에너지안보 … 1741. 에너지안보 후진국 ? 162(1) 석유 <1> 심각한 중동 의존도 <2> 해외 탐사 & 개발 <3> 전략석유비축(2) 천연가스(3) 석탄(4) 원자력2. 산유국 꿈과 자주개발률 함정 ? 174(1) 산유국 꿈(2) 자주개발률 함정3. 에너지정책의 전환 ? 179(1) 공급 확대에서 수요 관리로(2) 신재생에너지 활성화Ⅵ. 동북아 에너지협력 가능성 … 1831. 수요 측면 ? 185(1) 아시아 프리미엄 <1> 아시아 프리미엄의 심각성 <2> 아시아 프리미엄 해소(2) 후쿠시마의 교훈 <1> 원전 대신 천연가스 <2> 원전 안전 공조(3) 에너지 허브와 에너지 스왑2. 공급 측면 ? 195?(1) 러시아의 동진(2) 셰일가스 혁명3. 지속가능한 에너지 소비 ? 202(1) 에너지 효율 높이기(2) 친환경 에너지 소비4. 새로운 에너지 영토 ? 207(1) 에너지 보고 북극해 <1>?콜드러시 <2> 북극해 에너지협력(2) 에너지 동토 북한 <1> 불 꺼진 북녘 땅 <2> 에너지 탈(脫) 중국? <3> 북한과의 에너지협력Ⅶ. 동북아 에너지안보협력을 위한 제언 … 2231. ECSC & CSCE 교훈과 동북아 에너지안보협력 ? 225(1) ECSC와 동북아 에너지안보협력 <1> ECSC의 성공 과정 <2> 동북아 에너지안보협력에 대한 함의(2) CSCE와 동북아 에너지안보협력 <1> CSCE의 성공 과정 <2> 동북아 에너지안보협력에 대한? 함의(3) 중국과 미국의 역할 <1> 중국:? 책임지는 리더십 <2> 미국:? 협력적인 역외자 <3> 중·미 협력과 동북아 에너지안보협력2.? 동북아 에너지안보협력체 설립 구상 ? 236(1) 1단계: 에너지공동시장(Common Energy Market) <1> 참여자: 한국·중국·일본 <2> 추진 과제: 에너지공동구매, 에너지공동비축(2) 2단계: 에너지안보협의체(Conference on Energy Security) <1> 참여자:? CEM+러시아, 미국, 몽골 <2> 추진 과제: 동북아 슈퍼그리드 중심으로 ?(3) 3단계: 에너지안보기구(Organization for Energy Security) <1> 참여자: CES+북한 <2> 추진 과제: 남-북-러 가스관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