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상세 이미지

책 소개
Book [책] 공부를 깨운다 by 송정복
독자들께
7년 전, 첫아이를 고등학교에 진학시키지 않자 부모님은 물론 친지와 지인들은 많은 우려를 했습니다. 학교에 보내지 않으면 사회성이 떨어져 대학에 가더라도 적응하기 힘들다며 마치 교육을 망치는 것처럼 보았습니다.
그로부터 2년 반 뒤에 첫아이는 미국대학에 진학했습니다. 이어 집에서 공부한 둘째 아이도 미국대학에서 자신의 전공을 찾았습니다. 과정이 꽉 짜여있지 않았기에, 다양하고 깊이 있게 스스로 공부할 수 있었고, 덤으로 중국어 하나를 더 구사할 수 있었습니다.
첫아이가 대학을 졸업하고 뉴욕에서 취직을 했지만, 지인들은 여전히 창의적인 교육에 대한 의구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자기주도학습으로 공부해서 미국대학에는 갈 수 있을지 몰라도 한국대학에는 가기 힘들다는 이야기였습니다.
올해 셋째 아이는 이화여대 국제학부에 합격했습니다. 합격의 기쁨을 넘어 우리가 기대했던 행복한 교육, 많은 돈을 들이지 않고 집에서 했던 교육의 열매를 보았다는 감격이 있었습니다.
우리는 외로운 길을 걸었습니다. 애초부터 없는 길을 만드는 것은 쉽지 않았습니다. 어떨 때는 질식할 것 같은 기분도 들었습니다. 숲을 헤치다 보니 길이 만들어졌습니다. 그것은 곧 즐거움이었고, 보람이었습니다.
생각지 않게 다섯째도 낳게 되었습니다. 그 아이는 저희의 가슴으로 낳았는데, 대안적인 교육을 생각하지 않았으면 낳을 수 없었던 선물이었습니다. 아이들을 교육하면서 힘든 것보다는 기쁨이 더 많았습니다. 그들 때문에 존재의 더 큰 이유를 발견하며 행복했습니다.
그렇게 살 수 있었던 것은 교육을 잘해서가 아니었습니다. 아이들이 착해서가 아니었습니다. 그것은 우리가 택했던 길이며 교육 가치에 대한 믿음을 굽히지 않았기 때문이었습니다.
교육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걷어내고, 욕심 부리지 않고 맑은 길로 가면 행복한 아이로 기를 수 있습니다. 나름의 지혜와 철학이 있다면 누구든 행복한 교육을 할 수 있습니다. 우리 가족의 교육이야기를 읽으면 행복한 아이로 만들어가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다는 것을 발견할 것입니다.
이 책에는 지난 7년 동안 우리가 살았던 이야기가 담겨 있습니다. 성숙되지 않은 이야기를 설익은 채로 내놓았습니다. 누구나 그렇게 살아간다고 생각하며 정리되지 않은 안방까지 열어놓았습니다.
교육방법에 대한 궁금증이 많은 독자는 ‘4부 실제적인 질문’을 먼저 읽으면 더 많은 이해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목차
1부 스펙을 넘어 스토리 만들기 …… 14
:: 1. 6년 만에 학교로 귀환한 주현이
……… 주현이의 두 번째 이야기 ┃ 16
:: 2. 재출발을 위한 카오스
……… 7년 전 부부싸움 이야기 ┃ 24
:: 3. 패닝도 홈스쿨을 한다.
……… 은비의 첫 번째 이야기 ┃ 33
:: 4. 홈스쿨러의 잔인한 사월
……… 은비의 두 번째 이야기 ┃ 38
:: 5. 빨리 대학에 가고 싶어요.
……… 은비의 세 번째 이야기 ┃ 44
:: 6. 주안이는 호나우딩요
……… 주안이의 첫 번째 이야기 ┃ 49
:: 7. 지식으로 성을 쌓을 것인가? 스토리로 길을 만들 것인가?
……… 교육 유목민의 이야기 만들기 ┃ 55
:: 8. 베이징 나그네의 자녀교육
……… 베이징에서 또다시 흔들린 교육개념 ┃ 63
:: 9. 주현이는 지진아인가? 부진아인가?
……… 주현이의 첫 번째 이야기 ┃ 69
:: 10. 위대한 보통 아이냐? 창의적인 단 하나의 존재냐?
……… 시은이의 첫 번째 이야기 ┃ 76
:: 11. 미국대학, 아무나 가나요?
……… 은비의 네 번째 이야기 ┃ 82
:: 12. Let it be
……… 주안이의 두 번째 이야기 ┃ 86
:: 13. 아랍으로 간 시은이의 행로
……… 시은이의 두 번째 이야기┃ 94
:: 14. 은서, 안나푸르나에서 새로 발견한 선물
……… 우리의 가장 소중한 선물 ┃ 101
:: 15. 주현이의 자전거 종주
……… 주현이의 세 번째 이야기 ┃ 106
:: 16. 시은이의 E대학 국제학부 합격보다 큰 의미
……… 시은이의 세 번째 이야기 ┃ 113
:: 17. 은비, the New Yorker
……… 은비의 다섯 번째 이야기 ┃ 122
:: 18. 노동을 넘어 선물로 살아가는 지혜
……… 하늘에서 음식(?)이 내린다면 ┃ 128
2부 기존 교육관성에서 벗어나기 …… 136
:: 1. 그것이 교육이었을까? ┃ 138
:: 2. 교육의 파랑새는 어디에? ┃ 141
:: 3. 블루오션으로 가는 길 ┃ 146
:: 4. 지도 밖으로의 운전 ┃ 150
:: 5. 지혜의 길을 선택하다. ┃ 154
:: 6. 오아시스로 텃밭 가꾸기 ┃ 158
:: 7. 커피 로스팅, 교육 로스팅 ┃ 164
:: 8. 학교는 거대한 세트장이다. ┃ 170
3부 새로운 가치로 창의적인 노하우 만들기 …… 176
:: 1. 진정한 노하우는 아이들의 예술적인 끼를 죽이지 않는 것이다 ┃ 178
:: 2. 바보야, 문제는 노력이 아니야 ┃ 183
:: 3. 어떻게 하면 글쓰기를 잘할 수 있을까? ┃ 188
:: 4. 열두 살 이전에 3개 국어를 ┃ 192
:: 5. 깜지식 공부로는 안 된다 ┃ 198
:: 6. 3D 프린트 시대에 어떤 교육 디자인을? ┃ 202
:: 7. 대화와 토론이 지식의 또 다른 시냅스를 만든다 ┃ 206
:: 8. 아이들을 너희처럼 만들려고 하지 말라 ┃ 210
4부 실제적인 질문 …… 216
:: 1. 왜 자기주도학습을 해야 하나요? ┃ 218
:: 2. 누가 가르치나요? ┃ 222
:: 3. 무슨 과목으로 공부하나요? ┃ 226
:: 4. 친구는 어떻게 사귀나요? ┃ 230
:: 5. 시험은 어떻게 치르나요? ┃ 234
:: 6. 홈스쿨을 그만두고 싶었던 적은 없었나요? ┃ 236
:: 7. 다른 대안교육은 없을까요? ┃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