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4
제1강 인문이란 무엇인가?
1. 병든 문화의 해독제 16
2. 인문의 의미 19
3. 고대 그리스의 연역적 기하학과 올림픽 24
4. 서양과 동양의 인문이상 27
(1) 서양 27
(2) 동양 30
제2강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1. 인문학의 의미 38
2. 인문학은 인문에 관한 깨달음의 학문이다 43
3. 인문학의 지혜는 ‘태도’의 이해와 깨달음에 있다 47
제3강 인문과 근대과학
1. 과학과 철학, 인문은 무슨 관계인가? 56
2. 과학 60
(1) 과학이성의 특성 62
(2) 고대 그리스 과학의 특징 66
3. 고대 그리스의 과학정신이 어떻게 근대에 전해졌는가? 68
4. 인문과 근대과학의 결합된 면과 단절된 면 71
5. 기술이성과 외재적(닫힌) 인문주의 75
제4강 자유란 무엇인가?
1. 일반적인 의미의 자유 특성 85
(1) 제한성 85
(2) 모순성 86
(3) 위기성 87
2. 몇 가지 시각으로 본 자유 91
(1) 적극적인 자유와 소극적 자유 91
(2) 감성적인 자유와 이성적인 자유 92
(3) 신체의 자유와 의지의 자유 93
3. 자유의 심층적인 이해: 의지의 자유와 자유의 경계 95
(1) 이성욕구가 곧 의지이다 96
(2) 의지의 자유 98
(3) 공평하고 올바르며 사심이 없는 마음과 자유 102
(4) 자유의 경계 106
제5강 인문학의 재건과 내재적 인문주의
1. 도구이성과 현대인 110
2. 사람과 우주대자연 113
3. 기계인과 인류 115
4. 외재적 인문주의 118
(1) 키케로시대의 인문주의 119
(2) 문예부흥시기의 인문주의 120
(3) 18세기 독일의 인문주의 121
5. 내재적 인문주의 124
(1) 본심의 이해 127
(2) 왜 도덕일까? 131
(3) 도덕주체 135
(4) 현실생활에서 본 도덕주체의 기본특징 141
제6강 문학, 예술, 역사, 철학은 인문학의 핵심이다
1. 문학 147
(1) 문학의 의미 147
(2) 문학의 일깨워 줌과 인문 149
2. 예술 152
(1) 예술의 의미 152
(2) 예술과 인문 155
3. 역사 157
(1) 역사의 의미 158
(2) 역사의 거울과 인문 161
4. 철학 163
(1) 철학을 배우는 자세와 그 효과 163
(2) 철학의 의미 165
(3) 철학의 목적 168
제7강 인문학 지식의 인문학 소양으로의 전환
1. 인문과 인문학 소양 172
2. 인문학 소양 177
(1) 인문학 지식과 인문학 소양 177
(2) 인문학 지식은 인문학 소양의 토대이다 178
(3) 인문정신과 인문행위 179
3. 인문학 소양의 중요성을 높임 183
(1) 인문학 소양의 개인에 대한 중요성 183
(2) 인문소양의 민족과 국가에 대한 작용 185
4. 인문소양을 높이는 현실적인 길 187
(1) 인문지식의 학습을 강화한다 187
(2) ‘사고하는 것’을 좋아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188
(3) 지식과 행동을 하나로 일치시켜 실행한다 190
(4) 신독과 신미의 정신을 가져야 한다 191
제8강 예술수양과 심미경계
1. 예술과 인간의 삶 195
(1) 예술은 속박에서 벗어나게 하는 것이고, 사람에게 자유를 주는 것이다 196
(2) 아름다움(美)의 추구 200
2. 예술수양의 목적 203
(1) 성품을 수양하고 기질을 변화시킴 204
(2) 이성과 느낌의 조화 208
(3) 절대적 미에 도달 211
(4) 수양을 통한 선(善)과 미(美)가 하나가 되는 최고의 심미경계 213
제9강 사사로운 느낌과 이성화된 느낌
1. 현대인과 감각적인 느낌 220
2. 느낌은 인간의 존재방식이다! 223
3. 느낌과 마음 225
4. 느낌과 도덕이성 227
(1) 느낌의 ‘자연’을 위배하지 말라! 느낌의 ‘당연’을 거스르지 말라! 228
(2) 사사로운 느낌과 이성화된 느낌 231
제10강 인생은 배움과 자각 그리고
가르침의 대순환과정이다
1. 배움의 대순환과 대학 236
(1) 새로운 문화와 도덕주체 236
(2) 배움과 대학 240
2. ‘가르침을 받음’ → ‘자각함’
→ ‘다른 사람을 가르침’의 대순환과정 247
(1) ‘가르침을 받는’ 단계 248
(2) ‘자각하는’ 단계 252
(3) ‘다른 사람을 가르치는’ 단계 255
(4) 순환(循環) 257
3. 진정한 독서란 무엇인가? 261
(1) 독서의 참뜻: 진정한 책을 읽고, 진정으로 독서한다 262
(2) 참 독서의 두 가지 원칙 266
제11강 사랑의 경계
1. 상대는 나와 보색관계 270
2. 사랑은 경계다! 273
3. 사랑을 받으려는 단계 276
(1) 좋아하는 느낌의 단계 276
(2) 그리워하는 단계 277
(3) 점유하고 지배하는 단계 278
(4) 거래하는 단계 279
(5) 보답을 바라는 단계 279
4. 사랑하는 단계 282
(1) 사랑하는 마음으로 관심을 가지고 중시하는 단계 283
(2) 사랑하는 마음으로 상대방 입장에서 생각하는 단계 284
(3) 사랑하는 마음을 지탱하는 단계 285
(4) 사랑하는 마음을 바치는 경계 286
(5) 사랑하는 느낌과 이성의 조화의 경계 287
제12강 나는 누구인가? - ‘너 자신을 알라!’
1. 인문학은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답을 얻도록 한다 290
2. 나는 누구인가?: 오이디푸스의 운명적 수수께끼 293
3.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의 의미 298
4. 너 자신을 알라: 현상의 나와 본질상의 나 300
5. 너 자신을 알라: 자유를 향한 경계 306
(1) 가장 낮은 경계 307
(2) 두 번째 경계 308
(3) 세 번째 경계 309
(4) 네 번째 경계 310
(5) 다섯 번째 경계 311
(6) 여섯 번째 경계 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