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진리가 인도하는 행복한 인생의 시작4
추천사8
제1부 세계관 - 올바른 세계관이 행복을 보장한다
서문18
제1장. 한국인의 뒤섞인 믿음, 혼란스러운 삶22
제2장. 철학은 없고 지식만 있는 나라27
제3장. 진리를 잃은 시대, 무엇을 따를 것인가31
제4장. 삶을 꿰는 세 가지 실마리36
제5장. 진리와 신화는 다르다41
제6장. 왜 진리가 삶의 중심 기준이 되어야 하는가46
제7장. 참된 앎은 어떻게 가능한가51
맺음말: 진리 중심 세계관으로의 회복56
제2부 가치관 – AI 시대, 무엇을 기준으로 살 것인가
서문64
제1장. 정직 – 진리 안에 서는 삶의 태도69
제2장. 정의 – 하나님의 기준으로 판단하는 삶73
제3장. 책임 – 자유에는 책임이 따른다78
제4장. 관용 – 다름을 수용하는 태도와 한계82
제5장. 절제 – 욕망을 다스리는 자기 통제의 능력86
제6장. 용서 – 상처를 품고 행복을 선택하는 능력90
제7장. 화평 – 평화를 이루는 자가 누리는 행복95
제8장. 사랑 - 진리 안에서 자라나는 생명의 힘100
맺음말: AI 시대, 가치를 진리로 분별하라104
제3부 인생관 - 나는 왜 세상을 살아가는가
서문110
제1장. 나는 누구인가 – 나를 찾는 인생의 시작114
제2장. 왜 사는가 – 삶의 목적과 존재의 이유118
제3장. 올바른 재산 관리 – “내 것”은 나눈 것뿐이다122
제4장. 수고와 땀의 의미 – 일은 고생인가, 사명인가126
제5장. 고통은 왜 존재하는가 – 상처와 눈물 속에서 만나는 하나님130
제6장. 자기희생 - 나를 부인하고 더 큰 사랑을 선택하는 삶134
제7장. 무엇이 참된 행복인가 – 만족은 어디서 오는가138
맺음말: 인생의 참된 의미는 진리 안에서 완성된다142
제4부 내세(來世)관 - 죽음 이후, 나는 어디로 가는가
서문148
제1장. 인간은 왜 죽는가 – 죽음의 기원과 실존의 질문151
제2장. 죽음 이후, 부활 전까지 – 영혼의 중간 상태는 무엇인가?155
제3장. 부활이란 무엇인가 - 죽음 이후의 새로운 창조157
제4장. 심판은 실재하는가 – 죄, 책임, 그리고 하나님의 공의161
제5장. 천국은 존재하는가 – 그리고 그 안에서 영생은 가능한가?166
제6장. 지옥은 실재하는가 – 그리고 그것은 왜 심판이 되는가?172
제7장. 내세(來世)는 이 땅의 삶과 어떻게 연결되는가?176
맺음말: 진리의 내세(來世)관은 삶을 바꾼다179
제5부 행복한 인생 - 진리가 인도하는 삶의 완성
서문184
제1장. 겸손의 소중함 - 진리 앞에서 나를 낮출 때, 인생은 깊어진다187
제2장. 위계질서의 소중함 - 하나님이 세우신 질서를 따를 때, 관계는 회복된다190
제3장. 자존감의 소중함 - 하나님이 주신 나를 존중할 때, 삶은 단단해진다193
제4장. 용서하는 능력의 소중함 - 상처를 품고도 행복을 선택하는 힘196
제5장. 나눔이 클수록 행복해진다 - 재물도 마음도 나눌수록 인생은 충만해진다199
제6장. 감사할수록 행복해진다 - 모든 것에 감사할 때, 일상은 기쁨이 된다202
제7장. 사랑을 성숙시켜야 한다 - 에로스에서 필리아로, 필리아에서 아가페로 자라나는 삶205
제8장. 소금과 빛이 되는 삶이 행복을 가져다준다 - 세상을 변화시키는 삶이 곧 가장 복된 인생이다209
맺음말: 진리가 인도하는 삶, 그것이 행복이다212
에필로그: 진리를 따라온 인생의 고백214
부록: 섬진강이 드리는 간증 설교216
참고 문헌: 『행복 인문학』 저술에 지적 영감을 준 책들2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