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편하게 출판 문의 등록하기!📌

저자님들이 자주 묻는 질문을 확인해보세요
좋은땅
  • 로그인 아이콘
  • 로그인하고 도서 제작해 보세요!

  • 출판 가이드 아이콘

    출판 가이드

  • 출판 후기 아이콘

    출판 후기

  • 좋은땅 TV 아이콘

    좋은땅 TV

  • 요즘 트렌드 아이콘

    요즘 트렌드

  • 고객 센터 아이콘

    고객 센터

  • 책 소개 아이콘

    책 소개

  • 화제의 책 아이콘

    화제의 책

  • 수상 도서 아이콘

    수상 도서

  • 저자 인터뷰 아이콘

    저자 인터뷰

  • 회사 소개 아이콘

    회사 소개

나의 도서 관리
  • 공지 사항
  • [공지] 2023년 종합소득신고용 원천징수 영수증 발급 안내 (2022년도 귀속분)
좋은땅 도서 이야기
  • 책 소개
  • 출판 이야기
  • 요즘 트렌드
저자들의 생생한 이야기
  • 저자들의 이야기
  • 좋은땅 TV
좋은땅 가이드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회사 소개
  • 고객센터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 개인정보취급방침
  • 공지사항
  • 이용약관
  • 제휴문의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지월드빌딩 (서교동 395-7)
좋은땅㈜ B1 ~ 5F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G-WORLD

  • Android앱

    Android앱

  • iOS앱

    iOS앱

저자님,

5,478번째

도서 제작에 도전해보세요!

황정연 저자
좋은 작가를 가꾸는 좋은 농부들이 있는 곳

황정연 저자

고경선 저자
내 책은 내가 만든다—출판계의 ‘스튜디오 드래곤’ 느낌의 자비출판 명당

고경선 저자

정동재 저자
저자의 마음을 읽어내는 능력과 진정성으로 무장하고 진중한 미인드로 최선을 다해주는 , 몇번이든 함께하고 싶은 출판사.

정동재 저자

현진호 저자
저자의 마음을 읽어주는 곳

현진호 저자

김정식 저자
출판 비용이 알맞고 홍보 디자인 편집력이 우수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또한 관계자 분들이 친절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김정식 저자

이동문 저자
작가라는 미지의 영역에서 꿈을 이룰 수 있는 교두보가 되는 좋은 땅

이동문 저자

도서 제작에 대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좋은땅 출판사의 출판 시스템이 궁금하다면?

좋은땅
좋은땅

로그인 정보를 잊으셨나요?

아직 좋은땅 계정이 없나요?

회원가입

책 소개

좋은땅

함께 "좋은 책"을 만들어 갑니다.

  • 공지사항
  • 고객센터
  • 로그인
  • 회원가입
  • 책 소개
  • 요즘 트렌드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출판후기
  • 좋은땅 TV
  • 더보기
출판 상담하기
닫기 아이콘
  • 책 소개 
  • 이달의 신간
  • 베스트셀러
  • 스테디셀러
  • 분야별 도서
  • 수상 및 선정 도서
  • 출판 이야기 
  • 화제의 책
  • 출간 전 연재
  • 북카드
  • 칼럼G
  • 좋은땅 사람들
  • 요즘 트렌드 
  • 트렌드 인사이트
  • 온라인 서점 베스트
  • 매장 진열
  • 언론 소개
  • 저자들의 이야기 
  • 저자 인터뷰
  • 함께 한 저자
  • 출판 후기
  • 좋은땅 TV 
  • 책 소개 영상
  • 후기 인터뷰
  • 좋은땅 쇼츠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출판 과정
  • 서점 유통
  • 판매 인세
  • 마케팅 프로그램
  • 유통 대행
  • 회사 소개 
  • 좋은 문화
  • 연혁
  • 좋은땅 공간
  • 고객 센터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자료실
  • 이벤트
출판에 대한 고민들 | 좋은땅과 함께라면 안심하실 수 있습니다
  • 출판 가이드 아이콘

    출판 가이드

  • 출판 후기 아이콘

    출판 후기

  • 좋은땅 TV 아이콘

    좋은땅 TV

  • 요즘 트렌드 아이콘

    요즘 트렌드

  • 고객센터 아이콘

    고객센터

책 소개 > 사회/정치 ‘경영책임자와 본사 및 현장 관리자’를 위한 중대재해 예방 및 대응 가이드북

‘경영책임자와 본사 및 현장 관리자’를 위한 중대재해 예방 및 대응 가이드북안전보건관리시스템 중심의 안전경영체계 구축
  • 백종배·함병호·신인재·서용윤·박주원 공저
  • 좋은땅
  • 2023년 09월 15일
공유하기
사회/정치

‘경영책임자와 본사 및 현장 관리자’를 위한 중대재해 예방 및 대응 가이드북

안전보건관리시스템 중심의 안전경영체계 구축

  • 백종배·함병호·신인재·서용윤·박주원 공저
  • 좋은땅
  • 2023년 09월 15일

도서 기본 정보

  • 분야
  • 면수
  • 판형
  • 제본
  • ISBN
  • 전자책
  • 가격
  • 사회/정치
  • 448쪽
  • 172mm × 235mm
  • 무선
  • 9791138823302
  • 없음
  • 32,000원

도서 판매처

  • 교보문고
  • YES24
  • 알라딘
  • 영풍문고
  • 인터파크 도서
이 책과 관련된 게시글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이제 안전은 경영시스템으로서 경영책임자와 관리자가
전사적으로 관리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현장의 안전보건관리에 머무르는 것이 아닌 조직?·?인력?·?예산의 자원관리와 작업?·?일정?·?품질?·?소통?·?공급망 관리 등의 운영관리를 아우르는 경영시스템이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안전보건경영체계 구축에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

경영시스템은 기업활동을 위해 구성되는 핵심요소들이 “일련의 상호작용 관계”로 연결되는 형태를 의미한다. 중대재해 발생위험을 저감시키는 기업활동 역시 전사 조직 내에서 시스템적으로 작동되도록, 경영책임자와 관리자는 안전보건경영체계 구축 계획 및 운영을 경영시스템의 일부분으로 여기고, 지속적으로 점검 및 개선해야만 한다.

즉, 중대재해 예방을 위해 경영책임자와 관리자가 안전보건에 대한 근본적인 철학과 시스템적 접근에 기반하지 않고 ‘법에서 요구하는 활동의 단편적 이행 수준’에 국한되어서는 안 된다.

이에 저자들은 오랜 기간 기업의 안전보건경영체계 구축에 대한 실패, 성공사례를 보아오면서, 경영시스템 측면에서 중대재해 예방에 필요한 올바른 가이드 수립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본 가이드가 경영책임자와 관리자의 안전보건경영체계 구축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는 바이다.

목차

Ⅰ. 안전보건경영시스템
제1장 시스템과 시스템 안전 20
1. 시스템 개념 20
1) 시스템 정의 20
2) 시스템 분석 21
2. 생산 시스템 24
1) 생산 시스템 정의 24
2) 생산 시스템 유형 25
3) 생산 공정과 설비 배치 30
4) 안전과 품질 32
3. 시스템 안전 36
1) 시스템 안전 개념 36
2) 시스템 안전 관점 3
제2장 안전보건경영시스템 48
1. 경영시스템과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48
1) 안전보건경영시스템 49
2) 안전보건관리체계 51
3) 안전보건경영시스템과 안전관리체계 구축 51
2. 영국의 안전보건경영시스템 구축 가이드 53
1) 계획, 실행, 확인, 행동 접근 방식 53
2) 안전보건경영의 핵심요소 56
3) 법적 의무 57
4) 위험 프로파일링 58
3. 영국 안전보건경영시스템의 실행 프로세스 58
1) 계획(Plan) 60
2) 실행(Do) 62
3) 점검(Check) 65
4) 개선(Action) 67

II. 안전문화와 안전분위기
제1장 안전문화와 산업재해 69
제2장 안전문화와 안전분위기의 본질적 특성 72
1. 안전문화(Safety Culture) 72
2. 안전분위기(Safety Climate) 78
3. 안전문화와 위험성평가(Risk assessment) 80
제3장 안전분위기 잠재적 영향과 항목별 측정지표 81
1. 안전분위기 효과 81
제4장 합리적인 안전분위기 항목과 측정지표 85
1. 안전분위기의 측정체계 85
2. 안전분위기 측정의 중요성 87
3. 안전분위기 항목 및 측정지표 87
4. 안전분위기를 측정하는 주기 88
제5장 안전분위기 측정 과정 및 도구 90
1. 평가 절차 설계 90
2. 안전분위기 항목 설계 92
1) 안전분위기 예비 항목 구성 및 조사 92
2) 분석 방법 96
3) 측정항목 구성 및 점수화 96
3. 안전분위기 파악 101
1) 안전분위기 평가 도구 활용 101
2) 평가 도구 사용자 교육훈련 101
3) 안전분위기 파악의 의미 102
제6장 안전분위기 향상 방법 104
1. 개선계획 개발 104
2. 피드백과 추적관리 106
3. 안전분위기 유지 및 향상을 위한 체크리스트 107
4. 안전분위기 변화를 수용하도록 독려 107
제7장 안전분위기 측정의 기대 및 한계 110

III.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가이드
제1장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112
1.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실행 전략 112
2. 조직 내 “안전보건경영 Risk” 진단 방법 116
1) 경영자 리더십 122
2) 근로자의 참여 124
3) 위험요인 파악 125
4) 위험요인 제거?·?대체 및 통제 128
5) 비상조치계획 수립 131
6) 도급?·?용역?·?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 132
7) 평가 및 개선 134
제2장 중대재해처벌법 요구사항별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136
1.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및 이행 137
1) 안전보건 경영방침 및 목표 140
2) 안전보건 총괄 전담조직 구성 146
3) 유해?·?위험요인의 확인 및 개선 153
4) 안전예산 편성 및 집행 165
5)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업무수행 조치 169
6) 안전보건 관련 업무 담당자 적정 배치 178
7) 종사자 의견 청취 185
8) 비상대응 매뉴얼(중대산업재해 발생 및 급박한 위험 대비) 195
9) 도급 시 안전보건 조치 207
2. 재해 발생 시 재발방지대책 수립 및 이행 222
3. 중앙행정기관 등의 행정명령 등의 이행 관련 226
4. 안전보건 관계 법령 준수 관리 228
1) 안전보건 관계 법령 이행여부 점검 및 필요한 조치 228
2) 안전보건 교육 실시 여부 확인 및 필요한 조치 231

IV.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사례
1. 분야별 구축 사례 소개 240
1) “안전보건 목표와 경영방침의 설정” 관련 사례 240
2) “안전보건 업무를 총괄 관리하는 전담 조직 설치” 관련 사례 248
3) “유해?·?위험요인 점검/개선체계 구축 및 이행” 관련 사례 250
4) 안전보건 인력?·?시설 등 적정예산 편성/관리 관련 사례 256
5) 안전관리책임자 등의 권한/평가 관련 사례 260
6) 안전보건 전문인력 배치 관련 사례 264
7) 종사자 의견청취 및 개선추진 관련 사례 265
8) 중대산업재해 전/사후 대응규정 수립 관련 사례 267
9) 도급/용역/위탁 시 안전보건 확보 관련 사례 271
10) 재해 발생 시 재발방지대책 수립/이행 관련 사례 275
11) 정부기관의 시정명령 등에 대한 이행 관련 사례 279
12) 관계 법령에 따른 의무이행 확인 및 개선 관련 사례 280
13) 유해?·?위험작업 등 안전보건교육 실시 관련 사례 281
2.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우수사례(기업별 사례) 283
1) 안전이 곧 최상의 서비스: ○○공항공사 283
2)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기술투자: ○○기업 289
3) 건설현장 안전관리체계 구축 우수사례 VS 불량사례 292
4) 화학회사 안전관리 구축 293
5) XX전자 반도체 부문 296
6) 정밀화학 소재기업 298
7)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컨설팅 중소기업 우수 사례 300
8) 일터혁신 컨설팅 통해 “안전 대응 역량 강화된 기업” 사례 307
9) 사업장 내 사고 재발방지 위한 주요 기업 활동 사례 313

Ⅴ. 중대재해처벌법 해설
1. 법 제정 목적 316
2. 법상 용어별 해설 317
1) 중대재해 317
2) 중대산업재해 318
3) 종사자 320
4) 사업주 321
5) 경영책임자 322
3.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비교 327
1) 산업안전보건법 및 산업재해보상보험법과의 관계 328
2) 중대산업재해 관련 법상 안전/보건 확보 의무 위반 328
4. “경영책임자 등”이 관리하는 대상 범위의 확대 331
1) 제3자에게 도급, 용역, 위탁 운영 331
2) 건설공사 발주자 332
3) 실질적 지배?·?운영?·?관리 책임 332
5. 법 적용 범위 및 적용 시기 333
6. “경영책임자 등”이 부담하는 안전보건 확보 의무 337
1) 재해예방에 필요한 안전보건관리체계의 구축 및 이행 338
2) 재해 발생 시 재발방지 대책의 수립 및 이행 339
3) 정부기관 등에서 법령에 따라 개선/시정 등을 명한 사항 이행 340
4) 안전보건 법령에 따른 의무이행에 필요한 관리상 조치 340
5) 도급?·?용역?·?위탁 등 관계에서의 안전 및 보건 확보의무 341
7. 위반 시 벌칙 및 수강명령 등 행정제재 343
8. 경영책임자 등에 대한 벌칙성 교육 수강 346
9. 형 확정 통보 349
10. 중대산업재해 발생 사실 공표제도 349
1) 공표 대상 349
2) 공표 내용 및 방법 350
11. 특례 351
12. 손해배상책임 352
13. 정부의 사업주 등에 대한 지원 및 보고 353
14. 서면 보관 354
15. 시행일 355

<부록>
1) 중대재해처벌법대응 체크리스트 (경영책임자 의무준수사항 이행 점검용) 358
2) 안전보건 관련 업무 담당자 임명장 360
3) 안전관련 업무 담당자 이행점검 평가표 363
4) 수급업체 안전보건 수준 평가 369
5) 안전보건관리 규정 작성 (예시) 371
6) 중대재해처벌법/산업안전보건법 준법 점검표 413
7) 사업장 안전보건 활동 연간 계획 (예시) 418
8) 중대산업재해 예방 위한 현장 활동 (예시) 420
9) 비상상황 발생 시 대응 흐름도 432
10) 안전보건 관계 법령 종류 433
11) 중대재해처벌법 의무이행 체크리스트 (요약) 434
12) TBM 활동 관련 양식 437
13)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사건 사례 439


참고문헌 444

작가 정보
저자(글) 백종배·함병호·신인재·서용윤·박주원 공저
인물 상세 정보

백종배 교수

화공안전분야 박사학위 취득 후 1996년부터 한국교통대학교 안전공학과 교수 및 공과대학 학장으로 재직하고 있으며, 국내 최대 안전분야 학술단체인 ‘한국안전학회’ 회장(19대)을 역임하며 국내 안전분야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 노동부 재직 시 PSM 제도의 국내 도입과 산업안전의 법적 기틀을 마련하는데 참여하여 해외 우수사례를 토대로 국내 법 체계 및 기준의 수정 및 보완에 크게 기여한 바 있으며, 안전공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위험성 평가 제도 도입 및 정착, 사고조사 및 분석 방법의 고도화 등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현재는 안전문화 향상 및 새로운 안전문제 해결을 위한 선구적 활동을 중점적으로 운영해 나가고 있다.

함병호 교수

화공안전분야 박사학위를 보유한 국내 안전보건시스템 분야 최고 권위자로서 고용노동부 재직시절 해외 PSM(공정안전관리) 제도를 국내 실정에 맞게 보완 및 개선하여 이를 국내에 성공적으로 도입함으로써 국내 공정안전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각 지역 지청장 및 화학사고예방과장 등 고용노동부 내 주요 요직을 두루 거친 후 보령지청장을 마지막으로 ’21년 11월 공직에서 퇴직(부이사관, 3급)한 후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에 있다. 대학에서 국내 다양한 기관, 업체들과 소통하며 안전보건시스템 문제점 분석 및 개선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등 안전보건관리시스템 중심의 실질적 안전경영을 통해 산업재해가 저감될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신인재 박사

1989년 독일정부 산업안전 연수 및 산업안전보건법 전면개정, 산재예방5개년계획수립, 검사?·?검정(인증)제도 도입 및 안전기준제정, 타이어공장, 화학공장, 반도체공장 역학조사, 화학공장안전점검 및 화학물질제도 개선 및 안전보건관리체계구축 등 우리나라 산업안전제도의 기틀수립과 근로감독관으로써 1만여건이 넘는 산재사고를 조사하는 등 34년간 산업안전보건 모든 분야에서 활동해왔다. 특히 우리나라에 위험성평가 도입을 위한 연구부터 제도도입시까지 추진하여 왔다. 휴먼에러와 근원적 시스템안전에 많은 연구를 하였으며, 최초로 산업안전관련 영국(University of Bath)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용노동부 산업안전과장, 지청장과 산업안전보건교육원장을 역임하였고 현재 법무법인 광장의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서용윤 교수

산업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부경대학교 안전공학과를 거쳐, 현재 동국대학교(서울) 산업시스템공학과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경영정보분석과 시스템안전을 통합하는 안전경영 분야를 연구하며, Safety Science,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Total Quality Management and Business Excellence 등 SCI 및 SSCI 국제저널에 다수의 안전관리 논문을 게재하고 있다. 최근, 고용노동부, 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유관기관의 안전정책 자문 및 연구개발 활동에 참여하는 등 산학연관에 다양한 경험과 전문성을 갖추고 있다.

박주원 박사

정밀화학 및 환경안전분야 박사학위를 보유하고 다년 간 국내 대기업 및 외국계 기업에서 안전환경 관련 기획, 진단, 현장 안전보건 총괄 업무를 수행해 온 현장 안전환경 전문가이다. 프랑스 Total그룹에서의 Global 안전환경시스템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LG그룹 내 화학기업에서 본사 안전환경 총괄 기획, 진단 및 사업장 안전팀장으로 재직하며 노사공동 안전보건 활동(노사 One Team) 추진, 중대산업재해 저감 활동 및 Global 안전보건 시스템 개발(LGCSRS)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이후 KCC그룹으로 옮겨 그룹 내 신성장 미래사업인 Silicone 분야 안전팀장으로 안전보건 시스템 고도화 및 안전문화 개선 활동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등 현장 내 안전보건 이슈 관련 원인 분석 및 개선 방안 도출 등에 관한 실무적 전문성을 두루 갖추고 있다.

‘경영책임자와 본사 및 현장 관리자’를 위한 중대재해 예방 및 대응 가이드북

같은 분야의 도서
더보기
뉴로컬리즘으로 승부하라
너나 청렴하세요!
아들이 군대를 갑니다
외국인 투자자를 위한 한국 법률 실무 안내서
왜, 친환경은 편리함을 이기기 어려울까
1776 리포트 & 정체성 정치를 넘어서
ISO 37301 인증심사원 가이드북
아무도 가르쳐 주지 않는 변호사 선임의 비밀
참 찾는 아리랑
인생은 긴 마라톤
  • 공지사항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제휴문의
  • Android앱

    Android앱

  • iOS앱

    iOS앱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유선 문의

02.374.8616~7

이메일 문의

gworldbook@naver.com

  • 서비스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채팅 상담하기
  • 자료실
  • 회사
  • 회사 소개
  • 찾아오는 길
원고 및 파일 전송

아이디 : so20s 

비밀번호 : so20s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유선 문의

02.374.8616

이메일 문의

gworldbook@naver.com

  • 회사
  • 회사 소개
  • 찾아오는 길
  • 서비스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채팅 상담하기
  • 자료실
원고 및 파일 전송

아이디 : so20s

비밀번호 : so20s

  • 공지사항
  • 개인정보취급방침
  • 앱다운로드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GWORLD(지월드)빌딩 - 좋은땅㈜ B1 ~ 5F ©G-WORLD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GWORLD(지월드)빌딩
좋은땅㈜ B1 ~ 5F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G-WORLD

홈

검색

전체

내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