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상세 이미지

책 소개
『명심보감』, 『사자소학』, 『소학』 등 옛 교재로 배우는 인성교육의 방법과 실천
현재 우리 사회는 입시 위주의 교육풍토가 고착화되어 인성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학생들은 마지못해서 하는 공부로 인해 심한 스트레스와 불안을 느끼고 좌절??·??방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이런 것이 곧 청소년 문제와 사회 문제를 야기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다운 인간을 기르고자 하는 인성교육에 대한 요구가 더욱 절실해지면서 우리나라의 전통사상인 효사상을 중심으로 한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우리나라 전통사상인 효사상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통적인 인성교육에 대한 관심을 가지면 좋겠다는 생각에 부족하나마 힘을 보태고자 하였다.
- 〈서문〉 중에서
목차
서문 … 4
제1부 한국의 효사상
1장. 『명심보감』의 효윤리와 인성교육론 … 12
2장. 『사자소학』에 내재된 효사상 … 43
3장. ?주자(朱子)의 『소학』과 한국의 『사자소학』의 효사상 비교 연구 … 73
4장. ?『사자소학』에 나온 경학적 배경 - 주로 효를 중심으로 … 104
제2부 한국의 인성교육 - 『명심보감』을 중심으로
1장. 『명심보감』 「정기」 편 … 120
2장. 『명심보감』 「존심」 편 … 138
3장. 『명심보감』 「계성」 편 … 152
4장. 『명심보감』 「성심」 편 … 167
5장. 『명심보감』 「계선」 편 … 188
참고문헌 …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