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자(글) 정연석
인물 상세 정보강원 횡성 출생
우천초등학교·우천중학교 졸업
원주고등학교 졸업
청주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졸업
충주대학교 최고경영자과정 수료
한국교통대학교 경영대학원 박사과정
(재무전공) 수료
체신부(정보통신부)·우정사업본부·
우정공무원교육원
총괄우체국장(충주·대전·부평·남인천·평택·서울강서)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가을바람에 흔들리는 갈대를 바라보면 한없이 여유롭고 편안한 느낌이 든다. 하지만 갈대는 바다와 강이 만나는 소금기가 섞이는 곳에서도 살며 낙동강 하구나 순천만 하구와 같은 해안 염습지에서도 산다. 갈대는 오염된 물을 온몸으로 정화하여 고통을 감내하면서도 가을바람에 유연함을 보여주는 힘든 역경을 이겨내는 삶을 사는 식물인 것이다.
저자 정연석은 이처럼 갈대와도 같은 삶을 살았다. 그는 40년의 공직생활을 마감하며 신간 『가던 길 잠시 멈추고』를 통해 자신의 갈대와도 같은 삶을 되돌아본다. 험한 인생길에 항상 동반자가 되어주셨던 아버지를 그리워하고 어린 시절 뒷개울 황새바위에서 함께 뛰놀던 친구들을 추억한다. 그리고 그 모습은 독자들로 하여금 우리들의 아버지 모습을 떠올리게 한다.
내용
머리말 4
추천사 8
목차 10
아름다운 세상과 행운의 만남 18
어긋난 톱니바퀴의 슬픔 22
초등학교·중학교는 인생의 밑거름 26
고등학교는 인생의 갈림길 30
어느 날 갑자기 떠난 무전여행 33
제2의 고향 청주와의 인연 36
최고학부에 도전했던 용기 41
연세대 백양로를 걸으며 46
가장 좋아하는 스포츠, 골프 49
자랑스러운 내 고향, 밤나무골 52
어린 시절 함께 놀던 그리운 친구 57
강서에서 만난 양천현감 겸재 정선 64
혼란스러웠던 설 명절에 대한 회고 70
민족 최대 명절 추석에 대한 향수 75
6·25전쟁 격전지 지평의 전통술 막걸리 80
강서구와 양천구의 뒤바뀐 이름 85
세월호 침몰사고로 양분된 민심 89
메르스의 공포에서 얻은 교훈 93
진상고객 민원도 우정사업의 밀알 97
20년 추억의 광화문 연가 105
체신봉사상 수상자 VIP와 만남 110
체신공사 설립의 꿈은 날아가고 114
제안제도는 공직자의 블루오션 119
우정사업 ERP시스템 구축에 참여 123
우정사업과 6σ, 그리고 MBB 129
충주호와 탄금대 사랑 132
영·호남의 분기점 대전의 추억 138
부평우체국 개국과 함께한 시간 146
공직생활 40년, 불명예 늪에 빠져서 149
마음의 상처를 치유해준 평택우체국 153
마지막 근무지 서울강서우체국 159
서울에도 아름다운 산이 많다 166
명성산과 산정호수에 대한 추억 171
민족의 영산 태백산에서 운해를 보며 174
소백산 연화봉 능선을 걸으며 180
울릉도, 독도 그리고 성인봉 185
지리산 천왕봉 정상에 올라 193
남한 최고봉 한라산 등정 197
북한강 끝자락 운길산과 수종사 202
국토 최북단 섬 백령도 210
남해의 아름다운 섬들 215
과거 보러갈 때 넘던 길 문경새재 224
대전·청주를 품은 대청호와 청남대 229
안면도 여행의 덤, 간월암 233
자연경관이 아름다운 섬 홍도 237
정약전 자산어보의 산실 흑산도 243
담양의 자랑 죽녹원과 소쇄원 248
한반도 땅끝 마을 해남 255
서편제의 무대 청산도 260
선운사 경내를 거닐며 265
분단과 비극의 땅 철원 268
푸른 바다가 아름다운 화진포 273
소양강·청평사와 강촌여행 279
동계올림픽 개최지 평창 사랑 284
공직에서 마지막 찾은 남이섬 289
가까운 둘레길을 걸으며 294
생애 최초 해외여행, 중국 302
남태평양의 진주 호주, 뉴질랜드 312
프랑스, 스위스 그리고 이탈리아 326
일본 교토, 나라, 오사카의 정취 342
일본 최북단 북해도의 추억 355
중국 황산 기암(奇巖)·기송(奇松)의 매력 366
중국 장가계·원가계의 비경(?境) 370
베트남 하노이에서 나이스 샷(Nice Shot) 377
사회복지의 천국 북유럽 여행 381
위기상황에서 먼저 생각한 가족 396
골프장에 수용된 아버지의 땅 400
아버지께서 준비하신 조상의 유택 403
가족 곁을 떠나간 아버지의 빈자리 408
자식을 그리워하는 어머니 마음 413
가족은 관심과 배려, 믿음의 관계 416
우편사업의 마지막 보루, 신사업 개발 422
우리 사회의 갈등은 해결할 수 있는가 426
어느 인문학 교수의 강의를 듣고 431
노후생활은 혼자 하는 것에 익숙해야 434
행복한 노후생활을 위한 준비 440
정들었던 우체국을 떠나며 445
책을 마무리하면서 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