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이 글은 니체의 “자유로운 영혼”의 전 생애에 걸친 춤사위의 궤적을 따라 그 걸음들을 복원해보고자 하는 필자의 생각을 담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니체의 사유의 흐름을 충실하게 따르고자 하였고, 그의 생각을 이해하고자 하였습니다. 그것은 인간 존재에 대한 근원적인 물음이었고 존재에 대한 현대적 해석이었습니다. 다시 오늘날, 이 시대를 주도하는 변화의 흐름 속에서 니체가 남긴 영향력을 보게 됩니다.
어눌한 글이 되었지만 압도하는 시대적 변화의 흐름과 함께 니체가 남긴 영향의 한 측면을 착오 없이 조명하는 일이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목차
차례
들어가기에 앞서 … 4
책머리에 … 6
1. 현대인은 니체에게서 자유로운 영혼을 봅니다 … 11
우리는 때로 니체의 어름을 바라봅니다.
니체의 사유는 현대사상의 단초가 되었습니다.
2. 니체의 사유는 허무주의에서 시작되었습니다 … 25
니체는 허무주의의 요인을 이원론에서 찾았습니다.
허무주의에 대한 대안으로 니체는 “가치 전환”을 기획합니다.
3. 허무주의 극복의 단초를 니체는 고대 그리스 비극에서 찾았습니다 … 47
니체는 그리스 정신에서 순수한 영혼을 보았습니다.
허무주의를 극복할 실마리를 니체는 디오니소스에서 찾았습니다.
4. 니체에게 예술은 존재의 근원을 해명할 철학적 사유였습니다 … 61
디오니소스적 충동에 대한 아폴론적 형상화로써 니체는 예술을 설명합니다.
니체는 디오니소스와 아폴론의 관계로 예술의 기능성을 설명합니다.
5. 인간과 예술의 관계로 니체는 신의 세계를 유추 설명하고자 하였습니다 … 73
니체는 예술적 가상세계에 대한 심리적 요구에 주목합니다.
니체는 예술의 기능성으로써 종교의 출현과정을 설명하고자 하였습니다.
6. 청년 니체는 반낭만주의자였고 동시에 낭만주의자였습니다 … 85
니체의 사유는 낭만주의적 경향과 친족관계를 보입니다.
니체는 낭만적 성향을 보이는 반낭만주의자였습니다.
7. 니체는 그 시대의 아들이었고 그 시대는 유럽의 19세기였습니다 … 107
유럽의 19세기는 사실들을 숭배한 위대한 시대였습니다.
니체에게서 우리는 실증주의적 사유를 볼 수 있습니다.
8.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하였다』를 통하여 우리는 니체의 꿈을 봅니다 … 121
차라투스트라는 대지의 원리로써 니체의 이상을 실현할 존재였습니다.
위버맨쉬는 대지의 원리만으로 실현될 수 있는 존재는 아니었습니다.
9. 니체는 인간 존재의 보편적 원리를 힘에의 의지로 설명하고자 하였습니다 … 153
육체와 정신을 하나의 차원에서 설명하는 새로운 존재 문법을 니체는 기획합니다.
니체의 ‘신인성’으로 가는 다리는 설계도가 없는 것이었습니다.
10. 니체의 사유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일관된 것은 그리스도교에 대한 문제였습니다 … 181
니체의 사유는 한결같이 그리스도교에 대한 비판과 연관됩니다.
니체는 낭만적 초월세계와 종교적 초월세계를 같은 것으로 인식할 때가 있었습니다.
11. 니체에게 “시대를 극복”한다는 것은 “자기 안에서 시대를 초월”하는 것이었습니다 … 203
니체는 시대적 문제를 소크라테스로써 사유합니다.
니체와 소크라테스는 존재에 대한 “인식”의 문제로 묶이어 있었습니다.
12. 니체는 존재의 문법을 넘어서 존재하고자 하였습니다 … 225
니체에게는 존재의 통합성만이 삶의 충만함이 구현되는 길이었습니다.
니체의 ‘힘’은 통합을 실현하는 열쇠가 되지 못하였습니다.
13. 니체는 자기 안에서 양극을 통합하여 제 이의 천성을 창조하고자 합니다 … 245
니체는 자기 안에 “다른 것이 되려 하는” 열망을 품고 있었습니다.
“십자가에 못 박힌 자 대 디오니소스”라고 니체는 서명합니다.
14. 니체가 추구했던 것과 다다른 곳은 다른 곳이었습니다 … 265
니체가 알고 있었던 충일감은 보편성과 만날 수 있는 길이 아니었습니다.
니체의 자유의 날개는 이카루스의 것과 같은 것이었습니다.
15. “나는 이제 나의 주소를 모른다.”라고 니체는 말합니다 … 287
자기 자신으로 돌아오는 것, 그것이 니체 사유의 귀결이었습니다.
우리에게는 “아들의 비밀”이 있습니다.
16.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오는 길 … 311
“어떤 길은 사람이 보기에는 옳으나 필경은 사망에 이르는 길”
이라고 잠언기자는 썼습니다.
사람은 하나님 안에서 그분과의 정확한 관계 속에서만 참 자유를 누릴 수 있습니다.
17. 아들의 비밀 … 337
작은 아들은 집으로 돌아오지 않았으면 아버지의 심정을 알 수 없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