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4
Ⅰ 북한산 둘레길과 숲의 중요성
1. 북한산의 지질학적 특성 14
2. 북한산 둘레길 개요 및 숲 해설 구간 소개 15
3. 지구 시대 구분과 식물 및 동물 출현 요약표 16
4. 숲과 문화의 깊은 연관성 17
5. 숲과 문명의 발상 18
6. 나무 이름과 존재의 의미 19
7. 지구의 탄생, 숲의 변천과 활용 방안 23
8. 우리나라 산림(숲)의 공익적 가치 분석 24
9. 산림(숲) 치유론 25
10. 1인 1숲(나무) 지정 캠페인을 제안하며 28
Ⅱ 북한산의 빼어난 풍경 소개
1. 흥국사와 전망대에서 남쪽으로 바라본 북한산 풍경 32
2. 흥국사 뒷산(노고산)에서 남쪽으로 바라본 북한산 풍경 36
3. 서울 도심지역(남쪽)에서 북쪽으로 바라본 북한산 풍경 38
4. 북한산 내부에서 본 북한산 근접 풍경 41
5. 북한산 국립공원 도봉지구 풍경 49
Ⅲ 북한산 둘레길 숲 해설 준비
1. 북한산 둘레길 숲 해설 구간 개요 및 참고자료 54
2. 대중교통으로 해당 지역 찾아가기 55
Ⅳ 숲 해설 1 : 산성 입구 – 국사당(밤골농원) 구간
〈북한산성 입구 – 효자치안센터 구간〉
1. 밤나무(참나무과) 58
2. 양버즘나무(버즘나무과) 63
2-1. 계곡 무장애 탐방로 안내 69
3. 양버들(버드나무과) 73
4. 아까시나무(콩과) 77
5. 소나무(소나무과) 82
6. 층층나무(층층나무과) 91
7. 복사나무(장미과) 96
8. 등(콩과) 100
9. 누리장나무(마편초과) 103
10. 불두화(인동과) 106
10-1. 백당나무(인동과, 참고: 불두화 개량 원종 소개) 109
11. 목련(목련과) 111
12. 졸참나무(참나무과) 118
13. 참나무류 관련 자료 조사 122
13-1. 도토리거위벌레 129
14. 상수리나무(참나무과) 130
15. 굴참나무(참나무과) 133
16. 갈참나무(참나무과) 135
16-1. 신갈나무(참나무과, 해당 구역에는 없음, 참고자료) 137
17. 주목(주목과) 139
18. 향나무(측백나무과) 144
19. 산딸나무(층층나무과) 148
20. 버드나무(버드나무과) 153
21. 수수꽃다리(물푸레나무과) 158
22. 단풍나무(단풍나무과) 161
23. 뽕나무(뽕나무과) 166
24. 대추나무(갈매나무과) 169
25. 낙상홍(감탕나무과) 173
26. 탱자나무(운향과) 176
27. 모과나무(장미과) 179
28. 음나무(두릅나무과) 182
29. 섬잣나무(오엽송, 소나무과) 185
30. 미선나무(물푸레나무과) 189
31. 백송(소나무과) 192
31-1. 갈참나무(참나무과) 196
<효자치안센터 – 박태성 정려비 구간>
32. 고추나무(고추나무과) 198
33. 헛개나무(갈매나무과) 201
34. 중국단풍(단풍나무과) 205
35. 느티나무(느릅나무과) 209
36. 벚나무(장미과) 214
37. 메타세쿼이아(측백나무과) 222
37-1. 섬잣나무(소나무과) 228
37-2. 반송(소나무과) 230
38. 구상나무(소나무과) 232
38-1. 관성사(關聖祠) 소개 236
39. 금송(금송과) 238
40. 전나무(소나무과) 240
41. 서양측백(측백나무과) 244
42. 자작나무(자작나무과) 249
43. 물오리나무(자작나무과) 253
43-1. 누리장나무(마편초과) 256
44. 작살나무(마편초과) 257
45. 병꽃나무(인동과) 260
46. 쪽동백나무(때죽나무과) 263
47. 일본잎갈나무(소나무과) 267
48. 국수나무(장미과) 271
49. 팥배나무(장미과) 274
50. 개암나무(자작나무과) 278
50-1. 아까시나무(콩과) 282
51. 생강나무(녹나무과) 283
52. 리기다소나무(소나무과) 288
52-1. 졸참나무(참나무과) 290
53. 청미래덩굴(백합과) 292
54. 철쭉(진달래과) 294
55. 개옻나무(옻나무과) 298
56. 산초나무(운향과) 300
56-1. 개옻나무(옻나무과) 303
57. 노린재나무(노린재나무과) 304
57-1. 큰광대노린재 307
58. 노간주나무(측백나무과) 308
59. 일본목련(목련과) 310
60. 진달래(진달래과) 314
61. 산철쭉(진달래과) 321
61-1. 벚나무(장미과) 325
62. 덜꿩나무(인동과) 326
63. 물푸레나무(물푸레나무과) 330
64. 오리나무(자작나무과) 336
<박태성 정려비 – 밤골공원지킴터 구간>
64-1. 박태성 정려비 343
65. 사위질빵(미나리아재비과) 346
65-1.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밤나무(이상 참나무과), 덜꿩나무(인동과) 350
65-2. 작살나무(마편초과)와 개암나무(자작나무과) 352
66. 화백(측백나무과) 354
66-1. 북한산 깃대종 오색딱따구리 358
67. 은행나무(은행나무과) 360
68. 두충(두충과) 366
69. 회양목(회양목과) 369
70. 가죽나무(멀구슬나무과) 372
71. 산수유(층층나무과) 377
Ⅴ 숲 해설 2 : 솔내음 누리길(창릉천 변)
<효자치안센터 정류장 - 사기막골 정류장 구간>
72. 회화나무(콩과) 386
73. 칠엽수(칠엽수과) 398
74. 은사시나무(버드나무과) 407
75. 느릅나무(느릅나무과) 411
76. 붉나무(옻나무과) 417
77. 개오동(능소화과) 421
78. 두릅나무(두릅나무과) 425
79. 참느릅나무(느릅나무과) 429
80. 오갈피나무(두릅나무과) 434
80-1. 분꽃나무(인동과, 참고자료) 437
81. 자귀나무(콩과) 439
82. 백합나무(튤립나무, 목련과) 444
83. 자두나무(장미과) 451
84. 살구나무(장미과) 455
84-1. 직박구리 461
참고문헌 4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