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상세 이미지
책 소개
독자 여러분들은 자신이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세인들은 한 치 앞도 모르면서 천만 년 살 것처럼 온갖 욕심에 파묻혀 살다가 그 욕심에 스스로 화를 입기도 한다. 타고난 운명을 거역하면서 살 수는 없는 일, 그것은 화를 자초하는 일이다. 명리학은 현명한 갈 길을 제시해 준다.
과학을 하는 사람이 웬 사주냐? 하는 따가운 시선에 필자는 괴로운 나날을 보낸 적이 있다. 전국에서 유명한 성명학자한테 고액의 작명료를 지불하고 지은 이름을 다른 성명학자가 보고는 나쁘다 하여 다시 지었다느니, 고액의 작명료 반환청구소송을 당하여 패소했다느니, 진짜 성명학자라면 자기 이름은 제일 좋은 이름으로 지었을 텐데 왜 출세하지 못하고 그렇게 사느냐느니, 명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주변 사람들의 눈총에 얼마나 마음고생이 심했는지 모른다.
목차
제1장 명리학의 개요
1. 명리학이란?
2. 명리학의 기원
3. 명리학과 미신(迷信)과의 차이
4. 생활 속의 명리
5. 왜, 명리를 알아야 하는가?
제2장 천간과 지지
1. 천간(天干)
2. 지지(地支)
3. 60간지(干支)
4. 지장간(支藏干)
가. 초기(初氣)
나. 중기(中氣)
다. 정기(正氣)
5. 지지(地支)의 구분
가. 사맹(四孟)
나. 사정(四正)
다. 사계(四季)
제3장 음양과 오행
1. 음양(陰陽)
2. 오행(五行)
가. 오행의 음양
나. 오행의 상생(相生)
다. 오행의 상극(相剋)
라. 납음오행(納音五行)
제4장 기둥(四柱) 세우기
1. 년주(年柱)
가. 년의 기준
나. 양력과 음력
다. 년주5지법
2. 월주(月柱)
3. 일주(日柱)
4. 시주(時柱)
가. 명리학적 시각(時刻)
나. 지구의 자전과 표준시
다. 서머타임(Summer time)
라. 조자시(朝子時)와 야자시(夜子時)
마. 출생시가 불분명한 경우
5. 근묘화실(根苗花實) 이론
가. 년주(根)
나. 월주(苗)
다. 일주(花)
라. 시주(實)
제5장 합·충·형·해·파
1. 간합(干合)
가. 쟁합(爭合)
나. 투합(妬合)
다. 암합(暗合)
2. 지합(支合)
3. 삼합(三合)과 삼합국(三合局)
4. 반합(反合)
5. 방합(方合)
6. 명암간합(明暗干合)
7. 자화간합(自化干合)
8. 간충(干沖)
9. 지충(地沖)
10. 형(刑)
11. 해(害)
12. 파(破)
제6장 육친론
1. 통변의 이해
2. 비견(比肩)
3. 겁재(劫財)
4. 식신(食神)
5. 상관(傷官)
6. 편재(偏財)
7. 정재(正財)
8. 편관(偏官)
9. 정관(正官)
10. 편인(偏印)
11. 인수(印綬)
제7장 12운성
1. 태(胎)
2. 양(養)
3. 장생(長生)
4. 목욕(沐浴)
5. 관대(冠帶)
6. 건록(建祿)
7. 제왕(帝王)
8. 쇠(衰)
9. 병(病)
10. 사(死)
11. 묘(墓)
12. 절(絶)
제8장 12신살론
1. 겁살(劫殺)
2. 재살(災殺)
3. 천살(天殺)
4. 지살(地殺)
5. 함지(咸池)
6. 고초(枯焦)
7. 망신(亡身)
8. 장성(將星)
9. 반안(攀鞍)
10. 역마(驛馬)
11. 육해(六害)
12. 화개(華蓋)
제9장 길신론
1. 일간(日干) 중심 길신
가. 암록(暗祿)
나. 금여록(金輿祿)
다. 천을귀인(天乙貴人)
라. 태극귀인(太極貴人)
마. 천주귀인(天廚貴人)
바. 문창귀인(文昌貴人)
2. 월지(月支) 중심 길신
가. 천덕귀인(天德貴人)
나. 월덕귀인(月德貴人)
다. 천덕합(天德合)
라. 월덕합(月德合)
제10장 흉시론
1. 상문(喪門), 조객(弔客)
2. 홍염(紅艶)
3. 괴강(魁?)
4. 탕화살(湯火殺)
5. 백호대살(白虎大殺)
6. 양인(羊刃)
7. 원진(怨嗔)
제11장 일간의 강약
1.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
2. 공망(空亡)
가. 진공(眞空)
나. 반공(反空)
3. 명궁(命宮)
4. 신왕 ? 신약(身旺 ? 身弱)
가. 왕상휴수사
나. 12운성
다. 상생 ? 상극
라. 공망
마. 양인
바. 명궁
사. 총평(總評)
아. 실습하기
5. 일간의 특성
가. 甲乙(木)
나. 丙丁(火)
다. 戊己(土)
라. 庚辛(金)
마. 壬癸(水)
6. 일주의 특성
제12장 용신론
1. 용신의 종류
2. 용신 정하기
가. 진용신(眞用神)
나. 가용신(假用神)
3. 용신의 길흉신(吉凶神)
가. 희신(喜神)
나. 기신(忌神)
다. 구신(仇神)
라. 구신(救神)
마. 한신(閑神)
4. 격의 성파(成破)
5. 용신과 일간의 조화
6. 격(格)의 특성
가. 식신격(食神格)
나. 상관격(傷官格)
다. 편재격(偏財格)
라. 정재격(正財格)
마. 편관격(偏官格)
바. 정관격(正官格)
사. 편인격(偏印格)
아. 인수격(印綬格)
자. 양인격(羊刃格)
7. 외격(外格) 및 잡격(雜格)
가. 외격(外格)
(1) 전왕격(專旺格)
(가) 곡직격(曲直格)
(나) 염상격(炎上格)
(다) 종혁격(從革格)
(라) 윤하격(潤下格)
(마) 가색격(稼穡格)
(2) 종격(從格)
(가) 종재격(從財格)
(나) 종살격(從殺格)
(다) 종아격(從兒格)
(라) 종왕격(從旺格)
(마) 종강격(從强格)
(3) 화격(化格)
(가) 갑기합 화토격(甲己合 化土格)
(나) 을경합 화금격(乙庚合 化金格)
(다) 병신합 화수격(丙申合 化水格)
(라) 정임합 화목격(丁壬合 化木格)
(마) 무계합 화화격(戊癸合 化火格)
나. 잡격(雜格)
(1) 잡기재관인수격(雜氣財官印綬格)
(2) 시묘격(時墓格)
(3) 시상관성격(時上官星格)
(4) 시상편재격(時上偏財格)
(5) 사위순전격(四位順全格)
(가) 사정격(四正格)
(나) 사생격(四生格)
(다) 사묘격(四墓格)
제13장 행운
1. 대운(大運)
가. 통근(通根)
나. 개두(蓋頭)
다. 절각(截脚)
라. 간여지동(干與支同), 간지동(干支同)
마. 간지충(干支沖)
바. 간지합(干支合)
사. 간동지충(干同支沖)
2. 세운(歲運)
3. 월운(月運)
4. 일운(日運)
제14장 통변 해설
1. 비견
2. 겁재
3. 식신
4. 상관
5. 편재
6. 정재
7. 편관
8. 정관
9. 편인
10. 인수
제15장 명리 분석
1. 남편이 무력하여 가계를 꾸려가는 억척녀
가. 일간
나. 용신
다. 해설
2. 7년 열애 끝에 결혼 5일 앞두고 사별
가. 일간
나. 용신
다. 해설
3. 그 사람은 저승사자였나?
가. 일간
나. 용신
다. 해설
4. 더 좋은 직장 구하려다 무직자로 전락
가. 일간
나. 용신
다. 해설
5. 자수성가한 대기업 총수
가. 일간
나. 용신
다. 해설
제16장 개운법
1. 이름으로 사주를 보완한다
2. 사주에 맞는 진로(직업)를 선택한다
가. 통변에 따른 직업
나. 오행에 따른 직업
3. 궁합이 맞는 배우자를 선택한다
4. 사주에 맞는 색깔을 선호한다
5. 사주를 보완하는 음식을 선호한다
6. 길일을 활용하고 흉일을 피한다
7. 건강상 취약한 부분에 신경을 쓴다
8. 지나친 욕심을 버리고 나눔의 정신을 실천한다
제17장 궁합과 택일
1. 궁합(宮合)
가. 궁합의 유래
나. 궁합의 중요성
다. 재미 삼아 보는 궁합법
라. 명리학적 궁합법
(1) 오행이 상호 보완이 되는 경우
(2) 일간이 간합이나 간충이 되는 경우
(3) 일지나 월지가 지합이나 지충이 되는 경우
(4) 삼합이 되는 경우
(5) 일주가 천지덕합이 되는 경우
(6) 명궁이 합이나 충이 되는 경우
(7) 공망이 같은 경우
2. 택일(擇日)
가. 재미 삼아 보는 택일법
나. 손 없는 날
다. 명리학적으로 보는 택일법
(1) 날의 사주 자체가 좋은 날
(2) 오행의 보완이 되는 날
(3) 사주와 합을 이루며 충 ? 형이 안되는 날
(4) 원진이나 공망이 안되는 날
3. 삼재와 아홉수
가. 삼재(三災)
나. 아홉수
4. 태아 성별에 대하여
제18장 성명학
1. 성명학의 유래
2. 성명학자의 자세
3. 이름을 받는 이의 마음
4. 성명학의 허와 실
5. 이름파(name-wave)
가. 이름파의 원리
나. 이름파 오행
다. 이름 통변수
라. 이름 통변의 특성
6. 전통 성명학
가. 오행구성의 길흉
나. 수리오행(數理五行)
다. 음령오행(音靈五行)
라. 삼원오행(三元五行)
마. 자원오행(字源五行)
바. 원형이정(元亨利貞)
사. 81수
아. 음양(陰陽)
자. 분파(分破)
차. 불용문자(不用文字)에 대하여
카. 놀림거리가 되는 이름
타. 대법원이 정한 인명용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