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편하게 출판 문의 등록하기!📌

저자님들이 자주 묻는 질문을 확인해보세요
좋은땅
  • 로그인 아이콘
  • 로그인하고 도서 제작해 보세요!

  • 출판 가이드 아이콘

    출판 가이드

  • 출판 후기 아이콘

    출판 후기

  • 좋은땅 TV 아이콘

    좋은땅 TV

  • 요즘 트렌드 아이콘

    요즘 트렌드

  • 고객 센터 아이콘

    고객 센터

  • 책 소개 아이콘

    책 소개

  • 화제의 책 아이콘

    화제의 책

  • 수상 도서 아이콘

    수상 도서

  • 저자 인터뷰 아이콘

    저자 인터뷰

  • 회사 소개 아이콘

    회사 소개

나의 도서 관리
  • 공지 사항
  • [공지] 2023년 종합소득신고용 원천징수 영수증 발급 안내 (2022년도 귀속분)
좋은땅 도서 이야기
  • 책 소개
  • 출판 이야기
  • 요즘 트렌드
저자들의 생생한 이야기
  • 저자들의 이야기
  • 좋은땅 TV
좋은땅 가이드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회사 소개
  • 고객센터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 개인정보취급방침
  • 공지사항
  • 이용약관
  • 제휴문의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지월드빌딩 (서교동 395-7)
좋은땅㈜ B1 ~ 5F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G-WORLD

  • Android앱

    Android앱

  • iOS앱

    iOS앱

저자님,

5,478번째

도서 제작에 도전해보세요!

황정연 저자
좋은 작가를 가꾸는 좋은 농부들이 있는 곳

황정연 저자

고경선 저자
내 책은 내가 만든다—출판계의 ‘스튜디오 드래곤’ 느낌의 자비출판 명당

고경선 저자

정동재 저자
저자의 마음을 읽어내는 능력과 진정성으로 무장하고 진중한 미인드로 최선을 다해주는 , 몇번이든 함께하고 싶은 출판사.

정동재 저자

현진호 저자
저자의 마음을 읽어주는 곳

현진호 저자

김정식 저자
출판 비용이 알맞고 홍보 디자인 편집력이 우수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또한 관계자 분들이 친절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김정식 저자

이동문 저자
작가라는 미지의 영역에서 꿈을 이룰 수 있는 교두보가 되는 좋은 땅

이동문 저자

도서 제작에 대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좋은땅 출판사의 출판 시스템이 궁금하다면?

좋은땅
좋은땅

로그인 정보를 잊으셨나요?

아직 좋은땅 계정이 없나요?

회원가입

책 소개

좋은땅

함께 "좋은 책"을 만들어 갑니다.

  • 공지사항
  • 고객센터
  • 로그인
  • 회원가입
  • 책 소개
  • 요즘 트렌드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출판후기
  • 좋은땅 TV
  • 더보기
출판 상담하기
닫기 아이콘
  • 책 소개 
  • 이달의 신간
  • 베스트셀러
  • 스테디셀러
  • 분야별 도서
  • 수상 및 선정 도서
  • 출판 이야기 
  • 화제의 책
  • 출간 전 연재
  • 북카드
  • 칼럼G
  • 좋은땅 사람들
  • 요즘 트렌드 
  • 트렌드 인사이트
  • 온라인 서점 베스트
  • 매장 진열
  • 언론 소개
  • 저자들의 이야기 
  • 저자 인터뷰
  • 함께 한 저자
  • 출판 후기
  • 좋은땅 TV 
  • 책 소개 영상
  • 후기 인터뷰
  • 좋은땅 쇼츠
  • 좋은땅 출판 가이드 
  • 출판 과정
  • 서점 유통
  • 판매 인세
  • 마케팅 프로그램
  • 유통 대행
  • 회사 소개 
  • 좋은 문화
  • 연혁
  • 좋은땅 공간
  • 고객 센터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자료실
  • 이벤트
출판에 대한 고민들 | 좋은땅과 함께라면 안심하실 수 있습니다
  • 출판 가이드 아이콘

    출판 가이드

  • 출판 후기 아이콘

    출판 후기

  • 좋은땅 TV 아이콘

    좋은땅 TV

  • 요즘 트렌드 아이콘

    요즘 트렌드

  • 고객센터 아이콘

    고객센터

책 소개 > 종교/역학 한국 교회사 수상

한국 교회사 수상
  • 박재갑
  • 좋은땅
  • 2021년 05월 16일
공유하기
종교/역학

한국 교회사 수상

  • 박재갑
  • 좋은땅
  • 2021년 05월 16일

도서 기본 정보

  • 분야
  • 면수
  • 판형
  • 제본
  • ISBN
  • 전자책
  • 가격
  • 종교/역학
  • 336쪽
  • 152mm X 225mm
  • 무선
  • 9791166497568
  • 없음
  • 15,000원

도서 판매처

  • 교보문고
  • YES24
  • 알라딘
  • 영풍문고
  • 인터파크 도서
이 책과 관련된 게시글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실크로드를 일반 역사의 눈이 아닌 기독교의 눈으로 보면 전혀 새로운 것이 보인다. 그것은 고대 무역로가 아닌 하나님이 역동적으로 역사하시는 삶의 현장이며 선교 현장이다. 이 책은 동서고금의 실크로드와 한국교회의 아픔의 역사와 문화를 목회자와 교인들이 함께 논의함으로 풀어 나가는 아주 훌륭한 교재가 될 것이다.- 세미레치예 연구소 소장 김상길(Ph.D)

그간 우리가 알고 있었던 우리나라 교회사에서는 접할 수 없었던 새로운 역사적 사실을 보게 되었다. 서양 선교사들의 기록에 의존한 종전의 방식이 아닌 또 다른 시각에서 우리나라 교회사를 이해함으로써 오래전부터 우리 민족을 향하신 하나님의 섭리를 깨달아 한국교회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저서라고 본다.- 백석예술대학교 교수 박윤갑(Ph.D)

대한민국 기독교 역사를 정치, 경제, 사회, 문화사와 함께 논한 한국 교회사의 보고(寶庫)이며 가장 성공적으로 설명한 최고의 가이드이다.- 영남대학교 교수 김정희(Ph.D)

목차

시작하는 말4
일러두기14


제1장 초기 선교 관점에서 본 한국교회사

1. 동진하는 기독교와 한반도16
세계 문명의 흐름과 교류16
기독교의 다양한 분파들20
중국과 기독교의 접촉 / 당나라 때 네스토리우스(Nestorius)파와 경교(景敎)22
원나라(몽골)와 기독교의 접촉25
중국과 일본의 기독교 접촉과 한국 기독교와의 관계 및 의미27
기독교 동진(東進)과 관련하여30

2. 이상하게도 한국의 기독교는 우리 자력으로 먼저 알게 된 신앙이다32
학문의 나라 조선36
본격적인 기독교 신자들의 등장37
수교 이후, 그리고 일제강점기 시대 가톨릭43

3. 한국 개신교 사(史)에서 백령도의 의미46
백령도47
귀츨라프, 1832년47
김대건 신부, 1846년 백령도에서 체포49
토마스 목사, 1865년 백령도 방문, 1866년 평양 대동강에서 순교50
중화동교회, 1898년, 장로교회로는 소래교회(1883년) 다음으로 조선인의 손으로 자생적으로 직접 설립된 교회51
알렌, 1884년54
언더우드와 아펜젤러, 1885년 4월, 최초의 목회 선교사56



제2장 일제강점기의 관점에서 본 한국교회사

평양 대부흥 운동, 1907년66
3.1 운동(1919년 3월 1일)67
일본의 교회 박해, 제암리교회 사건(1919년 4월 15일) 등68
일제강점기 한국의 가톨릭69
105인 사건, 1911년70
신사참배(神社參拜) 문제, 1930년대75
참고, 타 교단과 신사참배81
기독교 독립운동가들82
이회영(李會榮, 1867-1932)과 그 일가(一家)84


제3장 한국전쟁(6.25)의 관점에서 본 한국교회사
남북 분단, 그리고 한국 기독교88
6.25 전쟁과 한국 기독교의 피해93
적극적 북진을 주장한 한국교회95
군 선교와 포로 선교에 앞장섰던 한국 기독교97
피난지 부산에서의 기독교97
전쟁 이후의 혼란한 사회에서 제 역할을 해낸 한국 기독교101
이북 출신 기독교인들의 유입으로 더욱 성장하게 된 한국 기독교106
전쟁의 혼란 속에서도 교단 분열을 일으킨 한국 장로교113
부흥회의 열기, 그리고 교회 성장의 사이드(side)에서 덩달아 발생한 이단들114



제4장 한국교회 분열의 관점에서 본 한국교회사

다양성, 그리고 다양성을 용납하지 못하는 비극118
네비어스 선교 정책, 선교지 분할122
고신 측 분열(1951년), 신사참배의 여파126
기장 측 분열(1953년), 신학적 노선 차이의 여파129
통합과 합동의 분열(1959년), 에큐메니칼(타 종파와의 대화)를 거부하는 사람들130
합동 측 교단의 연이은 분열135
한국교회 교단 분열의 의미136



제5장 한국 경제의 성장 관점에서 본 한국교회사

경제와 종교140
경제의 핵심인 금융과 관계된 유대교, 그리고 개신교의 근면, 소명 의식과 자본주의141
한국의 발전 과정에 앞장섰던 기독교인들145
한국 경제 성장의 시기에 좋은 인적 자원을 이 나라에 공급했던 한국 기독교146



제6장 한국 민주화 운동의 관점에서 본 한국교회사

신앙과 정치154
민주화 운동의 범위160
이승만 정부-3.15 부정선거와 4.19163
박정희 정부 시절-한일회담 반대, 6.8 부정선거, 3선 개헌 반대, 반유신 투쟁 등165
전두환 정부 시절-5.18 민주화 운동(1980), 6월 항쟁(1987)170
한국교회의 인권 운동 발자취와 현황175



제7장 성경 번역 역사의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교회사

성경이란 무엇인가?190
기본적으로 성경 본문이라는 것에 대해서191
성경 번역의 역사192
타르굼(아람어 번역), 시리아 지역194
70인역(그리스어), 알렉산드리아 지역197
콥트어 번역, 이집트 에티오피아 지역198
여러 가지 번역본들200
우리나라 성경 번역의 역사206
1882년, 최초의 〈예수셩교누가복음젼셔〉 만주 및 이북 지역, 한글 최초의 번역207
1885년, 〈신약마가젼복음셔언〉 일본에서, 이수정209
1911년, 〈셩경젼셔〉, 오늘날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역의 시작본210
1967년, 〈새번역〉(1967), 〈표준새번역〉(1993), 〈성경전서 새번역 개정〉(2001)212
1977년, 1999년 개정, 〈공동번역 성서〉212
2005년, 〈성경〉 혹은 〈2005년판 성경〉, 오늘날 가톨릭에서 사용하는 성경213
한글 성경 번역의 의미에 대하여213
신명칭 하나님(하느님), 한국 성경 번역 역사의 가장 소중한 자부심이요 은혜의 제목215



제8장 한국교회 국내외 선교 관점에서 본 한국교회사

이기풍 목사, 한국 최초의 장로교 목사, 한국 최초의 선교사230
일제 식민지 시대로부터 해방 이후의 한국교회 선교235
오늘날 한국 선교 및 과제236



제9장 한국 문화(文化)의 관점에서 본 한국교회사

1. 한국 기독교 신앙의 토착화244
신앙과 문화, 그리고 토착화244
복음의 토착화, 복음이 새로운 문화와 조화되는 과정247
간략하게 보는 한국 기독교의 토착화 과정249
The spoils of Egypt(이집트의 노획물), 오리겐(Origen)253

2. 한국 기독교와 문화256
한국교회의 토착화 신학에 대한 논의들(1960년대)256
한국 기독교의 폭풍 성장기와 한국 문화 및 대중문화 인식257
서양 기독교는 초대교회가 아닌 서양적으로 토착화된 다양한 기독교 흐름 중 하나였다262
대중문화와 전면전을 선포했던 1990년대의 한국교회266
독존이 아닌 공존과 상생, 우리가 한 식구라는 생각, 그리고 기독교 문화와 복음의 자연스러운 노출271
현대의 교회는 ‘문화 플랫폼’을 개발해야 한다274
의미(meaning)는 유지하고, 형태(form)는 시대에 맞게 적응, 변화하는 교회가 되어야 한다278
열린 자세279



제10장 동진하는 선교 역사의 관점에서 보는 한국교회사

1. 기독교 동진의 역사282
복음의 첫 선교 대상자는 디아스포라 유대인284
북아프리카로 향한 복음285
동아시아 쪽으로 향한 복음286
시리아 에데사(Edessa) 지역287
시리아 니시비스(Nisibis) 지역288
파르티아 왕조(The Parthian Empire, B.C. 250 - A.D. 225)와 사사니안 페르시아 왕조(Sasanian Persian Empire, 226-651)288
중앙아시아(동아시아)의 종교적 상황290
동아시아 기독교, 네스토리우스교291
서양인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에 등장하는 네스토리우스파의 흔적들297
당나라의 경교(景敎)298
대진경교유행중국비(大秦景敎流行中國碑), 왜(倭), 그리고 신라301
칭기즈칸의 막내며느리 소르칵타니 베키(Sorghaghtani Beki, 1190-1252)와 고려왕조303
임진왜란, 소서행장, 실학자, 천주교, 그리고 언더우드는 서방 기독교305
기독교의 동진과 기독교의 서진 비교306

2. 동진하는 한국 기독교309
동진하는 기독교309
기독교 동진을 무차별로 남발했던 한국의 이단 사상들313
신앙은 다양성, 다양한 문화를 가져야 한다316
인류의 동진, 기독교의 동진, 한국교회의 동진-마무리 글317

The History of Korean Church in a Historical Perspective of Christianity Moving Eastwards322
Christianity Moving Eastwards322
Dong-jin of Christianity and Heresy in Korean Church326
Dong-jin of Christianity and Diversity of Christian Culture328

작가 정보
저자(글) 박재갑
인물 상세 정보

필자는 지리산 하동에서 출생하여 유년기, 청소년기, 청년기를 보내면서 산기슭에 있는 교회 종탑에 달린 종을 치면서 복음에 대한 열정을 키워 왔다. 메아리 소리로 되돌아오는 교회 종소리를 들으면서 땅끝까지 복음이 전파되기를 소망하며 목회자의 길을 걷기를 기도하기 시작했다. 군 생활을 마친 후 소명 받아 경상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한 후 장로회 신학대학교 신학대원을 졸업하고 참된교회에서 부목사로 4년간 훈련받은 후 금문교회를 분립 개척하였다. 긴 목회 여정 가운데 교회 성장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되어 트리니티 신학대학원에서 3년간 수학하게 되었고 트리니티 신학대학원 졸업 학위논문으로, 〈The effect of Church Building Construction on the Growth and Revival of the Church〉(Trinity Theological seminary, 2015)을 썼고, 교회 성장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부천노회 노회장을 역임하였고 부천노회 목사회 회장으로 목회자들을 섬겼다. 그리고 월드비전 부천지부 회장(현재)으로 아동 복지를 위해서 지역을 섬기고 있으며, 금문교회 담임목사(현재)로 27년째 목회를 하고 있다.

한국 교회사 수상

같은 분야의 도서
더보기
괜찮아, 같이 밥 먹자
생활 속의 사주팔자
사랑나라 건설
황금빛 미래
당신도 신입니다!
너는 나를 믿니
조용기, 찰스 피니, 칼 바르트의 로마서 강해, 설교, 주석에 나타난 성경해석vs정통 기독교
템플 스테이 가이드북
개척, 내가 먼저 걸어본 그 길
'뻥' 뚫리는 설교학
  • 공지사항
  • 이용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제휴문의
  • Android앱

    Android앱

  • iOS앱

    iOS앱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유선 문의

02.374.8616~7

이메일 문의

gworldbook@naver.com

  • 서비스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채팅 상담하기
  • 자료실
  • 회사
  • 회사 소개
  • 찾아오는 길
원고 및 파일 전송

아이디 : so20s 

비밀번호 : so20s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유선 문의

02.374.8616

이메일 문의

gworldbook@naver.com

  • 회사
  • 회사 소개
  • 찾아오는 길
  • 서비스
  • 공지사항
  • 자주 묻는 질문
  • 채팅 상담하기
  • 자료실
원고 및 파일 전송

아이디 : so20s

비밀번호 : so20s

  • 공지사항
  • 개인정보취급방침
  • 앱다운로드
  • 이용약관
  • 제휴문의
  •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GWORLD(지월드)빌딩 - 좋은땅㈜ B1 ~ 5F ©G-WORLD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좋은땅㈜ | 대표이사 이기봉 |

사업자등록번호 196-81-00877 |

출판사 신고번호 제 2001-000082호 |FAX 02-374-8614

서울특별시 마포구 양화로12길 26 GWORLD(지월드)빌딩
좋은땅㈜ B1 ~ 5F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블로그
  • 유튜브

©G-WORLD

홈

검색

전체

내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