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이 책의 특징은 평론가가 작품을 평할 때 그 기준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가에 대한 기준까지 밝힌 책입니다. 평론가라는 이름으로 제멋대로의 미사여구와 전문용어를 사용해 가면서 혼자만 알 수 있는 주관적인 평론은 말장난에 불과합니다. 이런 유의 평론은 문학의 발전에 전혀 기여할 수 없습니다. 문학 전공자가 아니라도 평론가의 평론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풀어 써야 하며 평가의 기준이 정형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논문과 같은 형태로서 소고 이상으로 작성해서 평론해야 문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비평물이 나오게 되어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 책은 시, 수필은 물론하고 스토리텔링을 비롯하여 장편소설까지 창작할 수 있는 기본 구성요소를 제시한 책입니다.
목차
추천의 글 04
서언 07
제1장 작품의 틀
1. 작가 22
2. 장르 23
(1) 장르 설정의 기준 24
(2) 2분법 26
(3) 3분법 26
(4) 4분법 29
3. 시 31
4. 수필 37
5. 소설 39
제2장 작품의 소재들
1. 사상 53
2. 사물과 경험 59
(1) 오감 60
(2) 서정적이냐 목가적이냐 62
(3) 꿈 64
(4) 촉수 66
제3장 판형
1. 말판 76
(1) 연설문 76
(2) 강의문 79
(3) 설교문 81
(4) 웅변원고 86
(5) 제스처 87
(6) 입 모양과 언어구사 훈련 89
2. 글판 91
(1) 작가의 사명감 91
(2) 민주주의에 대한 오해 96
(3) 논문 101
(4) 비판과 비평의 차이 103
제4장 작가의 삶과 작품의 영역
1. 셰익스피어의 삶이 작품에 끼친 영향 109
(1) 생애와 반전 110
(2) 셰익스피어의 작품세계 112
1) 셰익스피어의 5대 희극 / ① 한여름 밤의 꿈 / ② 베니스의 상인 / ③ 뜻대로 하세요 / ④ 말괄량이 길들이기 / ⑤ 십이야
2)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 / ① 리어왕 / ② 햄릿 / ③ 맥베스 / ④ 오셀로
(3) 영역 124
2. 작가의 환경과 장애가 작품에 끼치는 영향 126
(1) 이효석 127
1) 이효석의 감성적 특징 / 2) 생애 / 3) 대표작 『메밀꽃 필 무렵』의 특징 / 4) 평 / 5) 동반작가
(2) ‘파랑새’ 헬렌 켈러 144
1) 좋은 스승과 좋은 제자 / 2) 헬렌 켈러와 설리번 선생의 일화
제5장 창작
1. 구조(뼈대 세우기) 157
(1) 귀납법 158
(2) 연역법 159
2. 서술 161
(1) 주인공과 동기화 161
(2) 설정 162
(3) 클라이맥스 164
(4) 작가의 의도 166
3. 완성 167
(1) 치밀한 구성(완성도) 167
(2) 머리말 쓰기와 제목 수정, 강조 169
제6장 스토리텔링
1.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이란 178
(1) 정의 178
(2) 역사 179
2. 구성요소 181
(1) 역사적 사실에 기초 181
(2) 기법은 플롯 구조 183
(3) 작아도 있어야 할 것은 다 있어야 183
3. 스토리텔링 작업의 실제 184
(1) 도깨비 이야기 185
1) 테마 / 2) 형태 / 3) 반전 / 4) 또 다른 반전
(2) 작업해 봅시다 188
1) 플롯 구성 / 2) 내용 구성 / 3) 곁가지 채용 / 4) 혼 불어넣기
4. 건국신화를 스토리텔링 작업할 경우의 난맥상 197
(1) 건국신화를 스토리텔링하는 경우 198
1) 테제를 통한 난맥 처리 / 2) 작업해 봅시다
(2) “금관제국의 태왕 김수로” 199
제7장 데코레이션 기법과 리얼리티 기법
1. 리얼리티 기법 234
(1) 콜라주 236
(2) 패러디 237
2. 다빈치 코드에 도입된 리얼리티 기법 분석 238
(1)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기호 240
(2) 막달라 마리아의 과거 241
(3) 중세시대의 암흑기와 교황청 242
(4) 모나리자, 최후의 만찬, 암굴의 성모 244
3. 데코레이션 기법 245
(1) 스펙트럼 246
(2) 아포리즘 247
(3) 스펙트럼과 아포리즘의 예 248
제8장 비평과 평론
1. 비평 258
(1) 텍스트에 의한 비평 양식들 261
1) 궁켈 / 2) 서지, 주석적 비평 / 3) 해석학적 비평
(2) 학문적 구조에 의한 비평양식들 263
1) 형식주의적 비평 / 2) 사회, 윤리적 비평 / 3) 구조주의와 탈구조주의 비평 / 4) 정신분석적 비평 / 5) 신화, 원형적 비평
2. 평론의 방법 269
(1) 평론의 기본기 273
1) 작품성 / 2) 테크닉 / 3) 가치와 기여도
제9장 한글 표준어와 발음의 2중 체계 문제
1. 수캉아지, 수탕나귀가 새로운 표준어? 282
(1) 한글 개혁론 대두 283
(2) 한글 죽이는 한글학자와 교육부의 표준어 채택 284
(3) 예문 288
2. 한글의 장점은 접근성과 과학적 체계 290
3. 외국인에게 있어서 한글은 어떤 글인가 293
(1) 현장 스케치 ‘미녀들의 수다’에서의 한글 294
(2) 한글 단순화 이후의 기대효과 295
(3) 창작을 가로막았던 한국의 다른 문화들 295
(4) 한글과 영어의 차이 299
제10장 종장
부록 - 논술 만점을 위한 행군 309
(1) 대학당국의 주관 310
(2) 어떻게 작성할 것인가 310
(3) 논리전개 315
(4) 알맹이를 채워 나갈 때 주의할 점 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