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서문 4
제1장 히브리서
제1부 배경 ?15
1. 저자에 대해 알고 있는 사실은 무엇인가? 15
2. 기록 연대는 언제이고 청중은 누구인가? 21
3. 수신자들의 정황은? 26
4. 저술 목적은 무엇인가? 28
제2부 본문과 이슈 ?31
1. 본문의 구조는? 31
2. 구약사용의 핵심과 그 특징은 무엇인가? 34
3. 서신인가 권면인가? 37
4. 천사보다 우월하신 그리스도란(1:5-14)? 40
5. 그리스도가 모세보다 우월한 제사장이신 이유는(3:2-6)? 46
6. 하나님 말씀(4:12-13)은 어떤 면에서 탁월한가? 48
7. 히브리서에 나오는 대제사장 기독론의 특징은 무엇인가? 50
8. 멜기세덱과 관련하여 책망 받은 이유는(5:11-14)? 54
9. 타락(배교) 후 회개의 가능성은 전혀 없는가(6:4-6)? 56
10. 멜기세덱 제사장직을 통해 얻는 효과는 무엇인가(7장)? 69
11. 왜 피 흘림 없이 속죄가 불가능한가(9:18-22)? 80
12. 그리스도가 단번에 이루신 완전한 속죄란(9:23-28)? 82
13. 고의로 범하는 죄는 사함이 없는가(10:26-31)? 85
14. 히브리서 11장에 나오는 믿음의 정의와 핵심 메시지는? 90
15 시내산과 시온산의 차이점은(12:18-24) 무엇인가? 94
제2장 야고보서
제1부 배경 ?103
1. 저자는 예수의 형제 야고보인가? 103
2. 야고보서의 저술 시기와 장소는? 109
3. 수신자의 정체와 그들의 정황은? 112
4. 기록 동기와 목적은 무엇인가? 114
5. 장르는 무엇인가? 116
제2부 본문과 이슈 ?118
1. 본문의 구조는? 118
2. 행위와 믿음의 관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119
3. 야고보서와 산상수훈의 유사점은 무엇인가? 133
4. 야고보가 말하는 시험(시련)의 가치와 그 의미는? 134
5. 차별 금지의 이유는 무엇인가(2:1-13)? 142
6. 야고보가 말하는 다툼과 분쟁의 원인은(4:1-3)? 146
7. 가난한 자와 부자에 대한 성경적 개념은? 147
8. 서로 죄를 고백하는 기도는 정당한가(5:13-18)? 153
제3장 베드로전서
제1부 배경 ?164
1. 베드로 외에 다른 저자를 인정할 수 있는가? 164
2. 저술 시기는? 173
3. 저술 장소는? 174
4. 수신자와 수신지는? 175
5. 집필 동기와 목적은? 177
제2부 본문과 이슈 ?180
1. 본문의 구조는? 180
2. 베드로서의 삼위일체론이란? 181
3. 그리스도인은 고난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183
4. 베드로가 말하는 산 소망이란(1:3-12)? 185
5.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이란(2:9-10)? 195
6. 그리스도인의 국가관은(2:13-17)? 200
7. 신자인 종의 의무와 태도는(2:18-25)? 205
8. ‘옥에 있는 영들에게 선포한다’(3:18-20)라는 말은? 212
9. 물과 세례와의 관계성은 무엇인가(3:21-22)? 221
10. 육체로는 죽어도 영으로 산다는 말은(4:4-6)? 225
제4장 베드로후서
제1부 배경 ?235
1. 베드로후서의 저자는 전서의 저자와 동일한가? 235
2. 기록 연대와 장소를 확정할 수 있는가? 238
3. 기록 당시의 정황과 기록 목적은 무엇인가? 240
4. 문학적 장르는 무엇인가? 241
5. 베드로후서의 정경 내에서의 위치는 어떠한가? 243
6. 베드로후서와 유다서와의 문학적 관계는? 245
제2부 본문과 이슈 ?246
1. 본문의 구조는? 246
2. ‘신의 성품에 참여하는 자’가 갖출 덕목은(1:4-7)? 247
3. 베드로가 말하는 ‘예언’(1:19-21, προφητει??α)이란? 252
4. 그리스도인은 성경을 어떻게 풀어야 하는가(1:20; 3:16)? 254
5. 베드로후서에 나오는 적대자들의 정체는 누구인가? 259
6. ‘배도한 자들’(2:20-22)의 비참한 실상은? 266
7. 마지막 ‘심판 날’(3:1-7)의 특징은? 270
8. 왜 ‘하루가 천년 같고 천년이 하루’(3:8) 같은가? 275
제5장 유다서
제1부 배경 ?283
1. 저자 유다의 정체성은? 283
2. 기록 연대는 언제인가? 286
3. 수신자의 정체와 수신지는 어디인가? 288
4. 기록 동기와 목적은 무엇인가? 290
5. 문학적 장르는 무엇인가? 293
제2부 본문과 이슈 ?294
1. 본문의 구조는? 294
2. 유다서에 나타난 거짓 선생들의 특징은(3-4절)? 294
3. 유다가 교훈하는 이전에 실패한 예란(5-7절)? 299
4. ‘꿈꾸는 이 사람들’(8-10절)의 정체는 누구인가? 303
5. 가인, 발람, 고라의 길(11-13절)이란? 308
6. 이단자들에게 임할 최후 심판의 내용은(14-16절)? 313
7. 유다서의 비정경(외경/위경) 사용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317
8. 유다서와 베드로후서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27
참고 문헌 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