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g)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상세 이미지
책 소개
“고귀한 삶”을 전제로 생명의 가치를 자아내는 요긴한 자양분의 공급을 받으며 귀중한 생명의 관리는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직무이다. 그렇다. 영생을 갈망하는 삶의 본연된 생활의 자세 속에서 우리들은 “살아 계신 하나님”을 바라보고 이 땅에 오신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을 통한 보람되고 현명한 생애를 장식하는 문화적이고 예술적인 가치를 엮어나가야 되겠다.
이러한 뿌듯한 의미 속에서 세계적인 정보화 시대에 의하여 문명인으로 자축을 토로하는 세계인의 축제에 호응(呼應)하며 높은 지식인들의 수준에 발맞추어 시대적 인물이었던 “베드로”의 신앙고백으로, 곧 “주는 그리스도시요 살아 계신 하나님의 아들이시니이다”(마16:16)에 인생의 삶의 목적을 분명히 한다.
여기에 많은 의미가 부여된 사고력과 깊은 학문의 연구로 삶의 가치를 자아내면서, 낮은 수준인 나의 모습으로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 대학교 목회연구원”을 졸업하면서 제출하는 의무적인 졸업연구논문(베드로의 신앙고백에 관한 연구)을 한 권의 책으로 출판하여 아낌없이 나의 당시에 갖추어진 수준을 통하여 주위로 하여금 생각하게 하고 혼잡스러운 인생문제로 대두되는 사회적인 비윤리와 어지러운 세상질서에 영향력을 가세하여 복음의 향긋한 평화의 역사를 구축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생명의 존귀함을 엮어가는 세상사에서, 생존의 부단 없는 삶의 쟁취 속에서 삶의 권익은 하나님께서 부여하신 특권이기에 현명한 생애를 장식하는 오늘을 보람과 긍지로 메워 보는 것이다.
역사적인 인물로서 공헌이 지대한 두 명의 종교개혁자를 거론한다면 “루터”와 “칼빈”을 소개하고프다. 16세기의 흐트러지는 교계(敎界)의 문란을 재정립하고 새로운 개혁주의를 창출함으로써 인류역사에 이상주의의 자유함을 만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변화의 물결이 파도처럼 일어난 혁신적인 이 두 분으로 화려하게 장식된 발자취에는 하나님의 살아계심에 전적 의지하는 순수한 신앙의 역량을 딛고 앞세웠던 슬로건(slogan)이 곧 “오직믿음”(sola fide), “오직성경”(sola scriptura) 그리고 “오직은혜”(sola gratia) 이었던 것이다.
이것이 곧, 구원을 전제로 하는 영생을 하나님의 약속으로 세상에 주어진 메시지인 것이다.
목차
Ⅰ. 베드로 신앙고백 · 13
1. 연구 동기와 목적 · 13
2. 연구 방법과 범위 · 21
Ⅱ. 베드로의 회심 · 23
1. 사도 베드로의 생애 · 25
1) 예수와 베드로의 만남 · 26
2) 열 두 제자로서의 베드로 · 28
3) 초대 교회 지도자로서의 베드로 · 30
2. 회심에 대한 기독론적 고찰 · 31
1) 회심의 의미 · 33
2) 회심의 성경적인 이해 · 34
3) 회심의 이해에 대한 신학적 의미 · 40
3. 베드로의 회심과 신앙고백 · 44
1) 베드로가 회심하게 된 배경과 상황 · 46
2) 신앙고백으로 나타난 회심의 외적증거 · 49
3) 회심의 경험된 인물들의 실례 · 52
Ⅲ. 베드로의 선한 양심 · 58
1. 하나님의 형상에 대한 기독론적 고찰 · 59
1)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의 성경적 교리 · 61
2) 하나님의 형상인 인간의 신학적 정리 · 66
3) 하나님의 형상과 양심의 관계성 · 70
2. 성경 전체에서 나타난 양심 · 72
1) 성경에 나타난 양심의 종류와 기능 · 74
2) 자유와 양심의 연계성 · 76
3) 양심에 연계된 성경의 인물들 고찰 · 79
3. 베드로의 선한 양심 · 81
1) 평범한 어부로서의 베드로의 양심 · 83
2) 예수께로 향하여 열려진 베드로의 양심 · 86
3) 베드로의 가책에 대한 양심론 · 91
Ⅳ. 베드로의 신앙고백 · 96
1. 복음서에 나타난 베드로의 신앙고백 · 98
1) 복음서의 베드로의 신앙고백에 대한 주석적 고찰 · 99
2) 그들의 견해에 대한 대답(마16:14;막8:28;눅9:19) (주석Ⅱ) · 102
3) 제자들의 견해에 대한 예수의 두 번째 질문(주석Ⅲ) · 104
2. 베드로의 신앙고백에 나타난 그리스도의 기독론적 관심 · 108
1) 그리스도의 품위와 사역 · 109
2) 베드로의 신앙고백과 교회의 관계 · 114
3) 교회의 정의와 유형에 대한 신학적 의미 · 122
3. 서신서에 나타난 베드로의 신앙고백의 믿음 · 128
1) 바울서신에 나타난 믿음의 구원 · 129
2) 야고보 서신에 나타난 믿음의 준행 · 131
3) 베드로 서신에 나타난 믿음의 인내 · 134
Ⅴ. 베드로의 신앙고백과 사도적 권위 · 137
1. 신앙고백의 의의와 역사적 고찰 · 138
1) 초대교회의 신앙고백 · 140
2) 중세교회의 신앙고백 · 143
3) 종교개혁과 신앙고백 · 145
4) 개혁주의 교회와 신앙고백 · 146
5)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 · 147
2. 베드로의 신앙고백과 하나님의 주권 · 148
1) 하나님의 주권(Sovereignty of God) · 149
2) 하나님의 특별 계시로서의 성경 · 152
3) 사도로서의 성경적인 권위 · 161
3. 사도의 전통적인 권위의 계승과 적용 그리고 발전 · 163
1) 사도의 전통에 대한 계승과 적용 · 165
2) 사도의 권위에 대한 갱신과 영성 · 169
3) 교회의 성장과 방향에 대한 대안 · 177
Ⅵ.결론 · 184
1. 요약 · 184
2. 결어와 제언 · 188
참고문헌 · 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