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좋은땅 가이드
우리는 당신과 함께
좋은 책을 만드는
좋은땅 출판사입니다
좋은땅 고객센터
상담 가능 시간
평일 오전 9시 ~ 오후 6시 (점심 시간 12 ~ 1시 제외)
주말, 공휴일은 이메일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상세 이미지

책 소개
사주명리학의 고전인 『적천수(滴天髓)』, 『연해자평(淵海子平)』, 『궁통보감(窮通寶鑑)』, 『자평진전(子平眞詮)』 등을 통해 부단한 노력으로 사주명리학에 대한 많은 지식을 습득하였다고 생각될 쯤에, 자기 자신 또는 다른 사람에 대한 사주추명에 도전하여 보면 아직도 뭔가 모자란 감을 받게 된다. 사주에 있어서 용신(用神)이 이것인지 저것인지 확신이 없다. 심하게는 20년을 공부하고도 용신(用神)에 대한 확신이 없다는 푸념 섞인 말도 들었다.
필자도 일찍이 사주명리학에 심취되어 자신의 운명을 알고자 노력하였으나, 용신에 대한 확신이 없었다. 이리 보면 이것 같고, 저리 보면 또 저것 같아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지난 많은 세월이 있었다. 그동안 많은 명리서를 찾아서 읽어봤으나 시원한 답을 주는 것은 없었다. 그래서 사주명리학이라는 것이 소위 말하는 ‘이현령 비현령(耳縣鈴 卑縣鈴)’이구나 하고 푸념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어느 날부터 사주명리학에 대한 의문들이 실타래처럼 풀려감을 느꼈고 그 의문들을 풀고 나니 용신이라는 것이 이렇게도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너무 놀랐다. 마치 누군가 나를 안내하는 느낌이 들었을 정도였다.
명리학(明理學)은 음양학(陰陽學), 오행학(五行學), 간지학(干支學) 그리고 계절학(季節學)이 서로 어우러진 인문학이다. 그래서 모든 명리서(明理書)들이 간지학(干支學)이라고 표방하고는 있으나 간지학(干支學)으로서의 구체적인 내용이 빈약하거나 없는 것이 대부분이다. 명리학에서 간지학이 차지하고 있는 부분이 상당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특징을 모르고서 용신을 구하는 것은 사실 매우 어렵다.
필자가 존경하는 적천수천미의 임철초 선생과 적천수보주의 서락오 선생도 명조를 해석함에 있어서 필자와는 견해가 많이 다르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아무튼 두 존경하는 선생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빚어진 책으로 후학이 조금이나마 깨달을 수 있었던 점에 대하여 깊이 감사하고 고마워하고 있다. 필자가 위 두 분과 다른 견해를 피력하더라도 너그러이 용서하시길 마음속으로 기도해 본다.
이 책은 음양오행을 아우른 간지학, 계절학을 통하여 사주의 용신을 구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으며 이를 습득하면 용신을 찾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여타 다른 부분들에 대한 추명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그동안 용신(用神)으로 인하여 고민하는 많은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수 있는 명리서가 되길 희망하며 이 책으로 인하여 용신(用神)에 대한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한 가지 첨언하자면 명조를 추명함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명조를 통하여 용신(用神)을 찾는 방법을 논하는 것이 보다 객관적이고 보다 설득력이 있을 것 같아서 고전의 명리서 중 그래도 사람들의 일생을 대운에 따라 호불호를 나타낸 적천수천미가 가장 용신론을 논하는데 적당한 것으로 생각되어 적천수천미에 있는 명조를 대부분 예로 들었으며, 적천수천미의 해설도 그대로 번역하여 소개하였다.
사주명리학에 있어서 용신(用神)에 대한 위와 같은 현실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고자 천학(淺學)을 무릅쓰고 용기를 내어 이 책을 세상에 내놓았다. 이 책의 부족한 점이 많을 것으로 생각되나, 꾸준한 연구를 통하여 보정할 것을 약속하며, 제현(諸賢)들의 많은 지도편달이 있길 희망한다.
목차
머리말 4
Ⅰ 總論
1. 간지(干支) 10
2. 육친론(六親論) 32
3. 용신구결(用神求訣) 39
4. 계절학(季節學) 49
5. 명리학(明理學)의 길 50
Ⅱ 各論
1. 무근용신(無根用神) 59
2. 용신일반(用神一般) 71
3. 종격(從格) 및 신약(身弱) 142
4. 화격(化格) 190
5. 종강격(從强格) 218
6. 양기성상격(兩氣成象格) 240
7. 식신제살(食神制殺) 247
8. 고도(孤島) 271
9. 조후(調候) 292
10. 충거(?去)되는 명조 310
11. 천지합(天地合) 324
12. 일지(日支)의 의향(意向) 336
13.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의 관계 355
참고문헌 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