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의료가 한국 근대화의 문을 열던 시기,
구한말 개화기에 한국에 파송된 미 남장로교 최초의 의사 선교사 드류 유대모 박사는
의료와 선교, 그리고 독립운동의 뒷받침까지 폭넓게 활동했다.
하지만 그의 이름은 오랫동안 역사 속에 묻혀 있었다.
저자 최은수 님은 이 인물을 복원하기 위해 수년에 걸쳐 발로 뛰었다.
옛 기록을 뒤지고, 드류 박사의 발자취가 남은 역사 현장을 직접 찾았으며,
현지에서 만난 사람들과 인연을 쌓아 마침내 후손들과도 연결되었다.
그 과정에서 발견한 자료와 유품, 그리고 수많은 증언이 이번 책 『최초의 서양 의사 드류 유대모』의 토대가 되었다.
책은 단순히 한 사람의 전기를 넘어, 그가 한국 사회에 남긴 의료·선교·독립운동 지원의 발자취와
그 시대를 살아간 이들의 이야기를 함께 담고 있다.
저자는 드류 박사의 의료 활동과 도산 안창호 선생과의 특별한 인연을 함께 조명하며,
그가 남긴 헌신의 의미를 오늘에 전한다.
Q.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초의 서양 의사 드류 유대모』를 쓴 최은수입니다.
저는 한국 근대사와 교회사를 연구하며, 특히 호남 지역에서 활동한 미 남장로교 선교사들의 발자취를 오랫동안 추적해왔습니다.
이번 책은 그 연구 과정에서 만난 인물, 드류 유대모 박사의 삶을 집중적으로 다루었습니다.
역사 속에 묻혀 있던 그의 이름을 세상에 다시 전하고 싶었습니다.
Q. 집필을 결심하게 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서양의료가 한국 근대화의 물꼬를 텄음에도, 그 중심에 있던 드류 유대모 박사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는 미 남장로교 최초의 의사 선교사로, 의료와 선교, 독립운동 지원까지 다양한 영역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습니다.
저는 그 의의와 활약상이 ‘타의 추종을 불허할 정도로 지대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를 기록하는 것은, 한국 근대사와 의료사에 중요한 한 페이지를 복원하는 작업이기도 했습니다.
➡️실제 드류 유대모의 후손과 촬영한 사진
Q. 자료 조사는 어떻게 진행하셨나요?
처음에는 관련 원사료를 모으고 분석하며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기록 속 장소를 직접 찾아가 확인했고, 역사적 현장에서 만난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조사 범위를 넓혔습니다.
이러한 인적 네트워크를 통해 마침내 드류 박사의 후손들과 연결될 수 있었습니다.
현장 답사와 원자료 연구를 병행한 덕분에, 더욱 풍부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Q.도산 안창호 선생과 드류 유대모 선교사의 인연이 궁금합니다.
저는 “드류 유대모 없이 도산 안창호는 없다”라고 말합니다.
샌프란시스코에서 드류 박사를 만나지 않았다면, 도산 안창호 선생과 이혜련 여사는 미국 정착이 어려웠을 것입니다.
드류 박사는 그들의 후견인이 되어 미주 최초의 독립운동 단체 결성을 지원했습니다.
이 인연이 훗날 대한독립의 대의를 위한 행보에도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드류 유대모의 유품 사진
Q. 후손을 통해 발견한 인상 깊은 유품이 있다면요?
드류 박사 부부는 1남 4녀를 두었고, 첫째 딸 루시 다말 드류의 외동딸이 베티입니다.
올해 97세인 베티 여사는 한국 관련 유산을 소중히 보관해왔습니다.
그가 보관하던 전라북도 사투리로 ‘종’이라 불리는 반다지 속에는 귀중한 유물이 있었습니다.
특히 미 남장로교 총회의 ‘파송장’과 고려 청자 차 세트는 역사적 가치가 매우 높았습니다.
Q. 드류 박사가 남긴 가장 큰 발자취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드류 박사는 여러 의사들과 함께 초기 적십자사 창설 발기인으로 참여했습니다.
이 사실은 지금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콜레라 등 전염병이 유행할 때 국립피병원과 사립 피병원에서 환자를 치료하며 수많은 생명을 구했습니다.
그의 활동은 근대 서양 의료를 한국에 도입한 중요한 사례로 남았습니다.
➡️드류 유대모의 유품 사진
Q. 드류 박사의 삶에서 발견한 신앙적 메시지는 무엇인가요?
드류 박사는 여러 의사들과 함께 초기 적십자사 창설 발기인으로 참여했습니다.
이 사실은 지금까지 거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콜레라 등 전염병이 유행할 때 국립피병원과 사립 피병원에서 환자를 치료하며 수많은 생명을 구했습니다.
그의 활동은 근대 서양 의료를 한국에 도입한 중요한 사례로 남았습니다.
Q.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씀이 있다면요?
식민사관과 사대주의는 반드시 극복해야 합니다.
드류 박사의 삶에서 배울 점은, 사랑과 희생, 봉사, 섬김을 온유와 겸손으로 실천한 태도입니다.
그 정신이 오늘날에도 이어지길 바랍니다.
Q. 앞으로의 계획이 궁금합니다.
호남사관에 기반한 한국 근대사와 교회사 관련 논문과 저술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앞으로도 현장을 탐방하고, 기록되지 않은 역사를 발굴하는 작업을 계속할 것입니다.
『최초의 서양 의사 드류 유대모』는…
최은수 저자가 잊혀진 역사의 발자취를 따라가면서
구한말 개화기, 한 의사 선교사의 의료·선교·독립운동 지원 활동을 복원한 역사서입니다.
우리가 몰랐던 역사의 한 이름을 떠올리면서 그가 남긴 사랑과 헌신의 의미를 오늘에 전합니다.
📌 본 콘텐츠는 최은수 저자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저자의 이야기가 더 궁금하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