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땅 가이드
이제 출판과 관련된 모든 고민을 좋은땅에서 해결하세요.
인쇄 관련 가이드
책의 모양을 구성하는 4가지 요소
책의 판형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판형)
종이 규격 | 국전지 | 신국판(152mm×225mm) - 국판에서 변형된 타입으로 가장 많이 쓰이 는 판형 | 주로 쓰이는 도서 분야 | 경제, 인문, 소설, 산문 |
---|---|---|---|---|
국판(A5/148mm×210mm) - A4의 절반 사이즈로 휴대하기 편리한 판형 | 인문, 소설, 산문 | |||
46전지 | 46배판(B5/185mm×257mm) - 기술 계통 서적이나 학습참고서 등에 주로 쓰이는 판형 | 학습서, 전문서 | ||
46판(B6/128mm×188mm) - 수필이나 소설 등에 많이 쓰이는 판형 | 시, 소설, 산문 |
인쇄 도수
1도 흑백 | ![]() |
한 가지 색만을 사용하여 책을 인쇄한다. 일반적으로 검정(먹색) 잉크를 사용한다. |
2도 | ![]() |
개성 있는
편집을 하기 위해 2가지 색을 사용한다. 기본색은 검정(먹색) 잉크를 사용하며 다른 한 가지 색은 별색을 주로
사용한다. * 별색이란 4원색 이외의 색을 말한다. |
4도 | ![]() |
4원색(CMYK)을 사용하는 것으로 풀컬러 책을 제작할 때 쓰인다. |
용지 종류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종이)
표지 | 아트지 | 표지로 많이 쓰이는 종이. 매끄럽고 광택이 높아 고급 인쇄나 컬러 인쇄에 주로 쓰인다. |
스노우지 | 표지로 많이 쓰이는 종이. 고급인쇄나 컬러 인쇄에 주로 쓰이며 무광택지이다. | |
아르떼지 | 고급스러운 재질로 무광택지이고 따뜻한 느낌을 주는 종이이다. | |
내지 | 모조지(미색) | 출판물의 내지로 가장 많이 사용. 미색을 띠고 있어 눈에 피로감이 적으며 가독성이 높다. |
모조지(백색) | 복사용지나 프린터용지로 많이 쓰인다. 표면이 매끄럽고 탄성이 좋으며 백색을 띈다. | |
뉴플러스지 | 모조지에 미량의 코팅이 더해진 인쇄용지로 색감표현력이 좋아 컬러인쇄에 적합하다. |
인쇄 코팅
유광코팅 | ![]() |
책표지를 엷은 막으로 코팅하는 것으로 표지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코팅이 빛을 반사하여 광택이 난다. |
무광코팅 | ![]() |
책표지를 엷은 막으로 코팅하는 것으로 표지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출판물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코팅 방법으로 책을 무게 있어 보이게 한다. |
제본 종류
무선 제본 | 단행본의 가장 일반적인 제본 형태이다. 인쇄물을 정해진 규칙에 따라 접어서 대수에 맞게 한 권으로 묶음 다음 접착제로 책 표지와 접착시키는 방법이다. 양장 제본과 달리 실을 사용하지 않는다. |
양장 제본 | 접지를 한 종이를 대수 별로 실을 꿰매어 책등을 직각 혹은 둥근 모양을 내고 두꺼운 합지나 가죽류 등으로 하드 커버를 만들어 표지로 붙인다. 두꺼운 책이나 장기간 보관하는 책 또는 고급스럽고 특수한 책에 사용한다. |
반양장 제본 | 무선 제본 형식에 칼집이 들어간 곳을 실로 한 번 더 꿰매어 튼튼하게 만드는 제본. 두껍거나 보관기간이 긴 고급스러운 책에 주로 쓰인다. |
재단
인쇄 시 종이에 약간의 여분을 두고 인쇄하기 때문에 인쇄가 끝나면 그 여분을 잘라내야 한다.
원고 정리 가이드
원고량 안내
1. 페이지 조견표(폰트 크기 11포인트 기준, 편집에 따라 차이 있을 수 있음)
a4 | 신국판 | 200자 원고지(매) |
---|---|---|
75 | 120 | 600 |
100 | 170 | 800 |
120 | 200 | 1,000 |
150 | 255 | 1,200 |
200 | 330 | 1,500 |
250 | 400 | 2,000 |
300 | 480 | 2,400 |
2. 에세이집 출간을 위한 원고량(200자 원고지 기준)
- 최소 400매, 최대 1,000매
3. 컴퓨터 작업 시 원고량 확인법
한글문서에서 원고량 확인법 ![]() |
![]() |
![]() |
![]() |
워드문서에서 원고량 확인법 ![]() |
![]() |
![]() |
![]() |
차례와 제목을 위한 팁
1. 원고의 앞 부분에 차례를 배치한다. 차례는 장 제목과 소제목 등으로 구성된다. 편당 10여개 내외로 소제목을 구성하는 것이 적당하다.
문단 구성을 위한 팁
1. 문단 첫 줄은 한 칸 들여쓰기를 한다.
2. 문단은 대략 4~5개 문장으로 구성한다.
문장을 위한 팁
1. 지나치게 긴 문장은 가독성을 떨어트린다. 따라서 가독성을 위해 짧게 줄이거나 둘로 나눈다.
2. 쉼표와 마침표 뒤에는 한 칸을 비운다.
3. 맞춤법, 띄어쓰기에 오류가 없는지 확인한다.
4. 맞춤법 검사기를 사용한다.
5. 불필요한 행갈이나 말줄임표의 남발, 이모티콘 사용을 금한다.
6. 겹따옴표와 홑따옴표 사용에 유의한다.
- 겹따옴표( “ ” )는 인용할 때, 홑따옴표 ( ‘ ’ )는 단어를 강조할 때 사용한다.
사진과 이미지 사용을 위한 팁
1 . 사진 원고는 사전에 샘플을 제출해서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2 . 디지털 카메라로 찍은 사진은 파일 사이즈를 줄이거나 편집하지 말고 원본을 제출하고, 인화된 사진은 스캐닝하여 이미지 파일을 제출한다.
3 . 본인이 찍은 사진이 아니라면 저작권을 구매해야 한다. 인터넷에서 저작자의 허락없이 퍼온 사진은 사용할 수 없다. 이는 이미지 사용 시에도 동일 적용된다.